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현전 민요를 통해 본 기록시가의 민요 수용 및 변용 양상 : 고려 속요를 중심으로

이용수 56

영문명
Aspects of Acceptance/Transformation of Folk Songs of Written Poetry Examined through Current Folk Songs : Focusing on Goryeo Folk Poetry
발행기관
한국구비문학회
저자명
서영숙
간행물 정보
『구비문학연구』제66집, 45~79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9.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구비 전승되던 민요가 기록시가로 수용·변용된 것은 문자를 사용할 수 있는 지식과 능력을 지니고 있는 상층 계층이 민요의 활용 가치를 인식하고, 이를 자신들의 시가로 수용·변용해 기록하면서부터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기록시가 중 민요와의 관련성이 큰 고려 속요에 나타난 민요의 수용·변용 양상을 현전 민요와의 비교를 통해 살펴보았다. 고려 속요 중 속악가사 <상저가>, <정읍사>, <청산별곡>과 유사한 사설을 지니고 있는 현전 민요 <방아노래>, 제주도 <맷돌·방아노래> 등을 함께 살핀 결과, 민요에 나타나는 고난의 한탄이 속악가사로 변개되며 현실을 받아들이고 유교 이념을 실현해야 한다는 현실 긍정의 의식으로 바뀌었다고 보았다. 또한 익재 이제현의 소악부 <사리화>, <장암>, <수정사>, <탐라요(북풍선)>과 관련된 민요 <논매기 노래>와 <맷돌·방아노래>들을 찾아 검토한 결과, 모두 현실 세태를 노래한 것들로, 익재가 이런 민요를 소악부로 수용·변용한 것은 그의 말대로 “백성의 풍속을 보아 세태의 변화를 앎(觀民風知時變)”으로써, 상층의 경계로 삼기 위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즉, 고려 속요는 대부분 예사 사람들이 부른 현실을 한탄한 노래가 속악가사로 수용·변용되면서 오히려 현실을 긍정하거나 이념을 계도하는 노래로, 현실 세태를 묘사한 노래가 소악부로 번역·번안되면서 상층 지식인들의 정치에 대한 경계의 노래로 전환되었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Folk songs, which have been orally handed down over time, were accepted/transformed into written poetry when the upper classes with the knowledge and ability to use characters recognized the value of folk songs and accepted/transformed them into their own poems. By comparing them with current folk songs, this study examines the aspects of acceptance/transformation of folk songs in Goryeo folk poetry, which are highly related to folk songs among written poems. Analysis of current folk songs that have similar words to the folk music lyrics “Sangjeoga,” “Jeongeupsa,” and “Cheongsanbyeolgok” among Goryeo folk music lyrics revealed that the lamentation of suffering that appears in the folk songs has been transformed into the lyrics of Goryeo folk poetry. Furthermore, they have been transformed into a reality-affirming consciousness of accepting reality and implementing the Confucian ideology. In other words, it is highly probable that folk music lyrics were synthesized by accommodating/transforming various folk songs, and some were newly created and reorganized to fit the royal folk poems. In addition, examining folk songs related to Ikjae Lee Je-hyeon's poetry “Sarihwa,” “Jangam,” “Sujeongsa,” and “Tamrayo (Bugpungseon),” indicates they are all songs about the real state of ordinary people. Ikjae's acceptance/transformation of these folk songs into the soakbu poetry is thought to be a warning to the upper classes by, as he stated, “knowing the changes in reality by looking at the customs of the people.” In this way Goryeo folk songs were converted into folk poetry that affirm reality or guide ideology as the songs lamenting the reality sung by ordinary people were accepted/transformed into folk poetry. As the songs depicting the real world were translated and adapted into the soakbu poetry, it is thought that they ere converted into songs of caution against politics by upper-class intellectuals.

목차

1. 머리말
2. 고난 한탄을 현실 긍정으로: 속악가사 <상저가>, <정읍사>, <청산별곡>
3. 기층 세태를 상층 경계로: 소악부 <사리화>, <장암>, <수정사>, <탐라요(북풍선)>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영숙. (2022).현전 민요를 통해 본 기록시가의 민요 수용 및 변용 양상 : 고려 속요를 중심으로. 구비문학연구, (), 45-79

MLA

서영숙. "현전 민요를 통해 본 기록시가의 민요 수용 및 변용 양상 : 고려 속요를 중심으로." 구비문학연구, (2022): 45-7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