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세계 이해의 방식으로서의 내러티브: 굿맨의 인식론을 중심으로

이용수 103

영문명
Narrative as a Way of Understanding the World: Goodman's Epistemological View
발행기관
한국도덕교육학회
저자명
강숙
간행물 정보
『도덕교육연구』도덕교육연구 제35권 제1호, 157~179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3.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브루너의 내러티브 이론은 내러티브를 생성하는 우리의 사고 과정이 어떠한 것인지를 탐구한 이론이다. 주로 이야기의 형태로 제시되는 내러티브는, ‘내러티브 사고 양식’이라는 우리의 특징적인 사고 작용의 결과물이다. 브루너는 이를 ‘패러다임 사고 양식’이라는 다른 방식의 사고 작용과 비교하여 설명하고 있다. ‘패러다임 사고 양식’은 기존의 심리학계에서 주로 연구되던 사고의 작용을 이르는 것으로, 논리적이고 과학적인 방식을 따라 전개되는 사고이다. 브루너는 이러한 사고 양식이 과학이나 수학의 이론과 같은 형태의 결과물을 생성하는 우리 정신의 작용을 설명하는 데에는 유효하지만, 문학의 분야를 설명하는 데에는 적절하지 못하다는 결론을 내린다. 그리고 이를 설명할 수 있는 개념을 굿맨의 인식론에서 발견하였다. 굿맨은 우리가 기호를 통해 세계를 알게된다고 본다. 기호는 우리가 어떤 것을 인식할 때 지각하는 형태·색조·이름 등의 특정한 요소들을 인지적으로 받아들이는 형식이다. 굿맨은 여러 학문 분야들이 기호화의 방식에서는 차이가 있으나, 그것이 기호화된 체계라는 점에서는 모두 동일하다고 말한다. 그리고 예술 분야의 대표적인 기호화의 방식으로 ‘예시’를 제시한다. ‘예시’는 대상이 가지는 어떤 속성의 견본을 하나의 예로서 보여주는 것으로, 여러 예시 중 하나를 제시한 것이기 때문에 다른 것과 비교하여 옳고 그름을 판단할 수는 없으며, 그것이 예로서 얼마나 적합한가만을 말할 수 있다. 브루너는 이러한 방식으로 작동하는 사고를 ‘내러티브 사고 양식’으로 이르고 있다. 그가 설명하는 ‘내러티브 사고 양식’의 특징들은 이러한 관점에서 일관되게 해석할 수 있다. 이는 또한 세계를 이해하는 방식으로서 문학과 예술이 가지는 의미를 이해할 수 있게 한다.

영문 초록

J. S. Bruner's theory about narrative is an exploration of human thinking process that create narratives. Narrative, which is mainly produced in the form of stories, is the result of characteristic thinking process by humankind. Bruner called it “narrative mode of thought”. Bruner compares it to another way of thinking called “paradigmatic mode of thought”. The “paradigmatic mode of thought” indicates the kind of thinking that has traditionally been studied in psychology. It is a way of thinking that is logical and scientific. Bruner recognized that this mode of thought is valid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mind to produce theories in science and math, but is invalid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mind to create literature. He found an conception for narrative mode of thought in N. Goodman's epistemology. In Goodman's view, we come to know the world by symbols. When we perceive something, we identify it with certain elements, such as shape, color, name, and so on. These shapes, colors, names are the symbol which our cognition can take information about the world. Goodman proposes that although each field of studies is different in the way of symbolizing, they are all the same in that they are symbolized systems. He suggested “exemplification” as a typical form of symbolization in the arts. Exemplification is a sample of a property that is shown as an example. Because it is presented as one of many examples, it cannot be judged right or wrong in comparison to the others. We can say only how suitable it is as an example. Bruner refers to a process of thinking that works in this way as “narrative mode of thought”. The features of narrative mode of thought he describes can be explained with this perspective. Also it presents the meaning of literature and art as a way of understanding about the world.

목차

Ⅰ. 서론
Ⅱ. 굿맨의 인식론: 세계 이해의 방식
Ⅲ. 교육 내용으로서의 내러티브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숙. (2023).세계 이해의 방식으로서의 내러티브: 굿맨의 인식론을 중심으로. 도덕교육연구, 35 (1), 157-179

MLA

강숙. "세계 이해의 방식으로서의 내러티브: 굿맨의 인식론을 중심으로." 도덕교육연구, 35.1(2023): 157-17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