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발달장애 청년에 대한 직장의 장애 관련 지원과 직무만족의 관계에 관한 연구: 직업적 능력과 직무적응도의 이중매개 효과 검증

이용수 149

영문명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ability Support of Workplace and Job Satisfaction for Youth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xamination of the Double Mediation Effect of Occupational Ability and Job Adaptation
발행기관
한국직업재활학회
저자명
이은진 한기명
간행물 정보
『직업재활연구』제32권 제3호, 97~123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발달장애 청년을 대상으로 실시한 직장의 장애 관련 지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업적 능력과 직무적응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0년 발달장애인 일과 삶 실태조사」 응답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만 19세 이상 만 40세 미만의 발달장애 청년 중 현재 취업상태인 576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은 SPSS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매개변수가 2개인 직렬다중 매개모형 검증을 통해 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부트스트랩을 활용하여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청년에 대한 직장의 장애 관련 지원은 직업적 능력에, 직업적 능력은 직무 적응에, 직무 적응은 직무만족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직업 관련 직장의 지원이 발달장애 청년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직접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장의 장애 관련 지원이 발달장애 청년의 직무만족에 이르는 경로에서 직업적 능력과 직무 적응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는 간접효과 경로만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이중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취업한 발달장애 청년의 직무만족을 높이고, 직무 능력과 직무적응도를 높임으로써 사측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직장의 장애 관련 지원 확대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disability-related support at work for youth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n job satisfaction and verify double mediation effect of occupational ability and job adaptation. We used the data of 「2020 Survey on Work and Life Survey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and the responses of 576 people who are currently employed among young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ged 19 to 39 were used for the analysis. As analysis methods, the double mediation effect was confirmed through serial multiple mediation model verification and the significance of the double mediation effect was verified by bootstrap using the SPSS PROCESS macro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workplace disability-related support for young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d a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 on occupational ability, occupational ability on job adaptation, and job adaptation on job satisfaction. but the direct effect of disability- related support of workplace on job satisfaction was not significant. Second, in the path that disability-related support at work leads to job satisfaction of youth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nly the indirect effect of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job ability and job adaptation was significant, confirming the double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ed the necessity of expanding disability-related support in the workplace which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by increasing the job ability and job adaptability of working youth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목차

Ⅰ. 서론
Ⅱ. 문헌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은진,한기명. (2022).발달장애 청년에 대한 직장의 장애 관련 지원과 직무만족의 관계에 관한 연구: 직업적 능력과 직무적응도의 이중매개 효과 검증. 직업재활연구, 32 (3), 97-123

MLA

이은진,한기명. "발달장애 청년에 대한 직장의 장애 관련 지원과 직무만족의 관계에 관한 연구: 직업적 능력과 직무적응도의 이중매개 효과 검증." 직업재활연구, 32.3(2022): 97-1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