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의 유아교육 전공수업에서 비대면 수업 방식에 따른 사회적 실재감과 흥미 수준의 차이 검증

이용수 104

영문명
Prov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social presence and level of interest according to the non-face-to-face teaching method in pre-school teachers' major classes at universities : focusing on video classes and real-time video classes
발행기관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저자명
이은철(Lee, Eun Chul)
간행물 정보
『교육연구』제44권 제2호, 49~71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8.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 전공수업에서 비대면 수업 방식에 의해 사회적 실재감과 흥미 수준의 차이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비대면 수업 방식인 동영상 수업과 실시간 화상 수업의 방법에 의해서 학습자들의 사회적 실재감과 흥미수준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검증하기 위해서 실험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를 위해서 충남의 B대학의 유아교육 전공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 51명을 대상으로, 동영상 수업은 23명, 실시간 화상 수업은 28명으로 수행하였다. 동영상 수업은 사전에 제작된 수업 동영상을 정해진 기간 내에 수강을 하고, 추가로 부여된 학습 과제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고, 실시간 화상 수업은 수업 시간으로 정해진 시간에 실시간 화상 시스템(ZOOM)에 접속을 해서 수업을 운영하였다. 학기가 시작되는 시점에 사회적 실재감과 흥미 수준을 측정하였고, 학기가 종료되는 시점에 사회적 실재감과 흥미 수준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두 집단의 비교를 위해서 공변량분산분석(ANCOV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흥미수준 전체는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고, 흥미 수준의 하위 요인 중 교육내용 선호, 교육활동의 가치, 교육 담당자 선호도, 교육기관에 대한 선호도는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교육 활동 참여의 노력, 교육활동에 대한 유능감, 교육에 대한 또래 추천 의지는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사회적 실재감 전체와 하위요인 중 영향력과 응집력만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수업의 목적과 교육 내용을 고려하여 수업 방식에 대한 전략 수립을 위한 기반 자료를 제시한 것이 함의점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non-face-to-face teaching methods on social presence and interest level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lass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1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University B in Chungnam. The video class was attended by 23 people. And 28 people took the real-time video class. Video class is to take a pre-made class video within a set period. The real-time video class was conducted at a fixed time using a real-time video system (ZOOM). The preliminary survey measured the social presence and interest level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And the post-morate survey measured the social presence and interest level at the end of the semeste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NCOVA for comparison between the two groups. As a result, among the overall interest level and sub-factors, the effort to participate in educational activities, competence in educational activities, and the will to recommend peers for education showed differences among groups. Among the sub-factors,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erms of preference for educational content, value of educational activities, preference for educators, and preference for educational institutions. Among the overall social presence and sub-factors, only influence and cohesion showed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strategy for the teaching method in consideration of the purpose and contents of the less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은철(Lee, Eun Chul). (2022).대학의 유아교육 전공수업에서 비대면 수업 방식에 따른 사회적 실재감과 흥미 수준의 차이 검증. 교육연구, 44 (2), 49-71

MLA

이은철(Lee, Eun Chul). "대학의 유아교육 전공수업에서 비대면 수업 방식에 따른 사회적 실재감과 흥미 수준의 차이 검증." 교육연구, 44.2(2022): 49-7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