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사회와 한국교육의 선순환 발전: 교육학적 접근

이용수 398

영문명
Policy Tasks for the Reformation of Korean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교육학회
저자명
서정화(Suh, chung wha)
간행물 정보
『교육학연구』제60권 제5호, 29~56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8.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 교육의 발전 동인은 국민 교육열의 바탕 위에 교원들의 헌신과 교육개혁에 힘입은 바 크다. 한국 교육이 더욱 발전하고 국가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 팬데믹에 대응하면서 내·외적 상황에 직면하고 있는 쟁점과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개선해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새로운 교육 비전과 전략을 가지고 교육의 본질 구현과 국가. 사회 발전에 더욱 기여할 수 있도록 효과적인 지원 시스템을 구축하여 적극적이고 지속적으로 교육개혁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앞으로 교육의 본질 추구 노력이 강조되고 4차 산업혁명 시대와 AI 발달 등에 부응하며 교육의 다원성과 자율성, 책무성을 높이고 교직 존중 풍토 조성 및 신뢰 제고를 비롯해서 교육 격차 해소, 교육의 수월성(秀越性)과 평등성(平等性) 등의 가치를 조화롭게 추구하는 원칙 설정이 필요하다. 개혁 과제들로서는 4차 산업혁명에 부응하는 새로운 미래형 교육시스템 구축, 인성교육 및 공동체의식과 통일교육 강화, 실질적 출산 장려 정책 개발 및 교육 강화, 교직 존경풍토 조성 및 교직전문성 강화, 학교교육 격차 및 불평등 해소, 학교,대학.직업 연계체제 구축, 대학의 국제 경쟁력 강화 및 특성화, 사학의 자율성과 특수성 확립, 유능한 교육지도자 및 교육자치단체의 장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교육 거버넌스 혁신, 교육 백년대계를 설계할 교육개혁기구 설치 등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Republic of Korea was upgraded from a developing to a developed country in August 2021. This means that Korea is now regarded as a developed country in terms of its economic competitiveness and public welfare. The development and prosperity of Korea are recognized as being due to its education system and the strong enthusiasm of parents, devotion of teachers, and government educational reform. This study aims to explore policy directions and tasks for the reformation of Korean education for national development and prosperity. In recent years, concerns have been raised due to the onse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COVID-19 pandemic. In addition, the low birth rate, views unrelated to educational materials, and an uncertain future, as well as the environment have raised concerns. These kinds of changes demand appropriate responses and solutions. The status quo of education has many pending issues and problems. First of all, the big gap in school achievement among students as well as the failure of character education and excessive interference of the government in education. Also of concern are the depressed teaching atmosphere in schools, the crisis of morals and ethics and basic order, damage to the essence of educational autonomy, the insufficient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higher education, and more.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urgent to pursue the essentials of education, which requires reestablishing some principles and values such as excellence, equality, autonomy, diversity, and professionalism.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s and values, a new educational reform agenda could be recommended as follows. First, a new, future-oriented educational system and infrastructure should be built. Also, character education, community consciousness, and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be emphasized along with a feasible childbirth polic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respect for teachers and professionalism in teaching should be enhanced. It is inevitable to enact special laws for resolving disparities and inequality in education and private school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linkages between school, colleges, universities, and occupations.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and specialization in higher education should also be emphasized and enhanced. Additionally, it is urgent to reshuffle the educational governance system. To be specific, the chief executives of the central and provincial areas should be selected from among the best qualified education experts and leaders. All of the above-mentioned reforms could be discussed by a presidential committee for educational reform and concrete alternatives and solutions could be determined.

목차

Ⅰ. 문제의 제기
Ⅱ. 한국교육의 발전과 기여
Ⅲ. 교육 내.외적 상황 분석과 그 함의(含意)
Ⅳ. 한국교육의 현주소: 쟁점과 문제점
Ⅴ. 시대정신을 반영하는 교육 운용 원칙과 전략
Ⅵ. 선진교육 강국 건설을 위한 교육개혁 과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정화(Suh, chung wha). (2022).한국사회와 한국교육의 선순환 발전: 교육학적 접근. 교육학연구, 60 (5), 29-56

MLA

서정화(Suh, chung wha). "한국사회와 한국교육의 선순환 발전: 교육학적 접근." 교육학연구, 60.5(2022): 29-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