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촉각 촉진 기반 자기점검중재가 시각중복장애 고등학생의 순대포장 직무기술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66

영문명
The Effects of Tactile Prompt-Based Self-Monitoring Intervention on the Sundae Packaging Job Skills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Multiple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저자명
김영준(Kim, Youngjun) 김화수(Kim, Whasoo)
간행물 정보
『시각장애연구』제38권 제1호, 1~31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3.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촉각 촉진 기반 자기점검중재가 시각중복장애 고등학생의 순대포장 직무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에 있다. 연구방법: 연구 대상은 저시력과 지적장애가 수반된 시각중복장애 고등학생 세 명으로 구성되었다. 독립변인(중재 프로그램)은 참여자들이 목표행동의 수행에 사용하는 도구와 재료에 대해 촉각 촉진을 제공받은 후 목표행동을 수행하는 상황과 맥락에 따라 다중 자기점검 절차에 참여하는 것으로 구성되었다. 종속변인(목표행동)은 참여자들이 식품 제조 사업체에서 직접 순대와 내장을 포장하는 수행으로 정의된다. 연구결과: 참여자들은 중재를 통해 목표행동을 효과적으로 습득 및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촉각 촉진 기반 자기점검중재를 시각중복장애학생에게 적용할 시 물건 분류의 직업기초 성격과 기능이 반영된 직무기술을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있다는 상호 유의미한 기능적 관계를 결론지을 수 있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tactile prompt-based self-monitoring intervention on the sundae packaging job skills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multiple disabilities. Method: The study participants consisted of three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multiple disabilities accompanied by low vision and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independent variable (intervention program) consisted of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multiple self-monitoring procedures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context in which they perform target behaviors after being provided with tactile prompt of tools and materials used to perform target behaviors. The dependent variable (target behaviors) is defined as the performance of participants packing sundae and intestines directly in the food manufacturing businesse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participants effectively acquired and maintained target behaviors through intervention. Conclusion: When applying intervention consisting of tactile prompt-based self-monitoring to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multiple disabilities, there can be a meaningful functional relationship that job skills reflecting basic job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such as object classification could be effectively acquir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준(Kim, Youngjun),김화수(Kim, Whasoo). (2022).촉각 촉진 기반 자기점검중재가 시각중복장애 고등학생의 순대포장 직무기술에 미치는 효과. 시각장애연구, 38 (1), 1-31

MLA

김영준(Kim, Youngjun),김화수(Kim, Whasoo). "촉각 촉진 기반 자기점검중재가 시각중복장애 고등학생의 순대포장 직무기술에 미치는 효과." 시각장애연구, 38.1(2022): 1-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