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소규모 제조업 사업장 노동자의 근골격계질환 증상관리를 위한 앱 기반과 포스터 기반 자가관리 작업장 스트레칭 프로그램의 효과 비교

이용수 19

영문명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an App-based and Poster-based Self-managed Workplace Stretching Program on Musculoskeletal Symptoms of Workers in Small Manufacturing Businesses
발행기관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저자명
이연숙(Lee, Ryoun-Sook) 채덕희(Chae, Duckhee) 김자선(Kim, Jaseon)
간행물 정보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제30권 제3호, 120~131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의약학 > 간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8.31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effects of an 8 week, self-managed, app-based and poster-based stretching program on musculoskeletal symptoms, flexibility, stretching frequency,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musculoskeletal disorder knowledge in small manufacturing business workers. Methods: This was a cluster randomized, two-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orkers were assigned to either an app-based (n=20) or a posterbased (n=25) stretching intervention. Both groups received an educational class. The app group also received mobile phone text messages and an app with stretching videos, stretching alarms, stretching records, and information on musculoskeletal disorders. The poster group received workplace stretching posters.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to September 2018 and analyzed with the x2 test, paired t-test, and independent t-test. Results: There was only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support. Significant increase in flexibility and musculoskeletal symptoms were noted for both groups, but social support and musculoskeletal disorder knowledge were significantly changed only in the poster group. More than half of the workers practiced stretching at least 3 times a week. Conclusion: The 8 week, self-managed, workplace stretching program was effective to increase flexibility and stretching frequency to at least 3 times a week. However, effective interventions for musculoskeletal symptoms could not be identified.

목차

서 론
연 구 방 법
연 구 결 과
논 의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연숙(Lee, Ryoun-Sook),채덕희(Chae, Duckhee),김자선(Kim, Jaseon). (2021).소규모 제조업 사업장 노동자의 근골격계질환 증상관리를 위한 앱 기반과 포스터 기반 자가관리 작업장 스트레칭 프로그램의 효과 비교.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30 (3), 120-131

MLA

이연숙(Lee, Ryoun-Sook),채덕희(Chae, Duckhee),김자선(Kim, Jaseon). "소규모 제조업 사업장 노동자의 근골격계질환 증상관리를 위한 앱 기반과 포스터 기반 자가관리 작업장 스트레칭 프로그램의 효과 비교."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30.3(2021): 120-1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