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등학생의 한복 이미지, 선호 유형, 전통한복 인식 분석: 한복수업 참여 여부 및 성별을 중심으로

이용수 227

영문명
Analysis on the Hanbok Image, Perception and Preference Type of High School Students: Focused on Participation in Hanbok Classes and Gender
발행기관
한국가정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상미(Kim, Sangmi)
간행물 정보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제33권 제2호, 81~93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한복 이미지, 한복 선호 유형, 전통한복 인식을 알아보고 성별 및 한복수업 참여 여부에 따른차이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 지역 고등학생 438명의 자료를 수집한 후 SPSS를 사용하여 빈도 분석, 교차 분석, t-검정, F-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고등학생은 한복을 우아한 이미지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대중매체 및 온라인상에서 화려한 한복 디자인에노출되어 한복에 대한 화려한 이미지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복 이미지는 성별, 한복수업 참여 여부 및 성별을고려한 집단에서 통계적 유의미성이 확인되었다. 촌스러운 이미지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높은 비율을 보였고, 한복수업미참여 남학생 집단이 수업 참여 남학생 집단에 비해 3배 이상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생이 선호하고 있는 한복 유형은 전통한복이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퓨전한복, 생활한복, 패션한복 순으로 나타났다. 한복 선호 유형은 성별, 한복수업 참여 여부 및 성별을 고려한 집단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특히 패션한복에 대한 선호는 한복수업참여 집단이 미참여 집단에 비해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셋째, 고등학생의 전통한복에 대한 인식도는 보통 이상이었고 하위요소별로 살펴보면 심미성, 지속가능성, 실용성 순으로나타났다. 전통한복 인식은 한복수업 참여 여부, 성별, 한복수업 참여 여부 및 성별을 고려한 집단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그리고 한복수업 참여 학생이 미참여 학생에 비해 전통한복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mage, perception, and preference type of high school students of Hanbok and examin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nd participation in Hanbok classe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438 high school students in Busan.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test, t-test, and F-test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for most high school students, Hanbok has an elegant image, but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y perceive Hanbok to have a splendid image due to its exposure in mass media and SNS. The image of Hanbok differed by gender and participation in Hanbok classes. A higher percentage of male students than female students perceived Hanbok to have rustic image. Secondly, the type of hanbok that high school students prefer was traditional Hanbok, followed by fusion Hanbok, casual Hanbok, and fashion Hanbok. Hanbok preference type differed by gender and participation in classes. Group participating in hanbok classes showed a higher preference for fashion Hanbok than those who did not. Thirdly,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traditional Hanbok was above average. By subcomponents, it was shown in the order of ‘esthetics’, ‘sustainability’, and ‘practicality’.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raditional Hanbok perception according to gender and participation in Hanbok classes. Female students evaluated more positively for traditional Hanbok than male students and students who participate in Hanbok classes evaluated traditional Hanbok more positively than non-participating students.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상미(Kim, Sangmi). (2021).고등학생의 한복 이미지, 선호 유형, 전통한복 인식 분석: 한복수업 참여 여부 및 성별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33 (2), 81-93

MLA

김상미(Kim, Sangmi). "고등학생의 한복 이미지, 선호 유형, 전통한복 인식 분석: 한복수업 참여 여부 및 성별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33.2(2021): 81-9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