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 대상 반응 중심 문학교육의 방향성 탐색

이용수 268

영문명
A study on the direction of litera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based on the reader response theory
발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저자명
한은형(Han, Eunhyeung)
간행물 정보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제5권 제3호, 83~103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독자반응 이론의 흐름을 재정립하여 유아교육에 주는 함의를 도출함으로써 반응 중심 문학교육의 방향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독자반응이론이 대두된 배경부터 독자반응 이론의 흐름을 세 갈래로 구분하여 재정립하는 과정을 거쳐 유아교육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독자반응 이론은 유아가 그림책에 대해선택적 관심을 가진 이후 교류, 환기, 반응의 과정을 유기적으로 거치며 의미를 형성하고 재구성하는 전 과정에 초점을 맞춘 교육적 지원의 필요성을 함의하고 있었다. 이를바탕으로 유아 대상 반응 중심 문학교육의 방향성을 탐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자와 텍스트의 관계에 대한 교사의 관점 수립이 필요하다. 둘째, 선택적 관심의 기회확대를 지원해야 한다. 셋째, 심미적 읽기 과정 속 텍스트와의 교류를 독려해야 한다. 넷째, 환기와 반응을 통하여 문학작품 속 틈을 스스로 메워나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논의점을 교수방법 설계의 측면, 유아에 대한 관점 재정립의 측면, 환기와 반응의 명료한 구별의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direction of litera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by re-establishing the flow of reader response theory and deriving the implications for earlychildhood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derive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rough the process of re-establishing the flow of the reader responsetheory into three categories from the background of the reader response theory. As a result, the reader response theory implies the necessity of educational support focusing on the wholeprocess of forming and reconstructing meanings through organic exchanges, ventilation, and reactions after infants had selective interest in picture books. Based on this, the results of discoveringthe direction of response based litera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teacher s perspectiv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ers and texts. Second,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expansion of opportunities for selective interest. Third,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the exchange with texts in the aesthetic reading process. Fourth, through ventilation and reaction,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gap in literary works to fill themselves. Based on this, the discussion points were presented in terms of the design of teaching methods, the reestablishment of the viewpoint of infants, and the clear distinction between ventilation and response.

목차

I. 서론
II. 독자반응 이론의 흐름과 유아교육적 함의
III. 유아 대상 반응 중심 문학교육의 방향
IV.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은형(Han, Eunhyeung). (2020).유아 대상 반응 중심 문학교육의 방향성 탐색.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5 (3), 83-103

MLA

한은형(Han, Eunhyeung). "유아 대상 반응 중심 문학교육의 방향성 탐색."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5.3(2020): 83-10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