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력단절여성 취업지원을 위한 온라인 직업상담사의 교육요구분석: G공공기관을 중심으로

이용수 229

영문명
The Educational Needs Analysis of the Online Vocational Counselors Supporting Employment for Career-Interrupted Women : Focused on G-Public Organization
발행기관
한국직업교육학회
저자명
남상숙(Sangsook Nam) 강혜영(Hyeyoung Kang)
간행물 정보
『직업교육연구』제39권 제4호, 25~4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8.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경력단절여성 취업지원에 종사하는 온라인 직업상담사의 교육요구를 분석하여 이들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첫째, 경력단절여성 취업지원을 위한 온라인 직업상담사에게 필요한 교육내용은 무엇인가? 둘째, 경력단절여성 취업지원을 위한 온라인 직업상담사의 교육요구는 어떠한가?하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경력단절여성 취업지원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G공공기관의 온라인 직업상담사이다. 먼저, 문헌연구와 개방형 질문, 그리고 전문가 평정을 통해 경력단절여성 취업지원을 위한 온라인 직업상담사의 교육내용을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교육내용에 대해 실행도와 중요도 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한 t검정을 실시하였고, Borich 교육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 결과를 중복 확인하여 교육요구의 최우선 순위군과 차우선 순위군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경력단절여성 취업지원을 위한 온라인 직업상담사에게 필요한 교육내용으로는 총 4개 범주와 40개의 세부교육내용이 도출되었다. 교육요구의 최우선 순위군은 ‘비자발적 소극적 내담자에 대한 상담 유도’, ‘비언어적 메시지 파악’, ‘유연하고 개방적인 태도’ 등 10개 항목으로 나타났다. 교육요구의 차우선 순위군은 ‘상담협력관계형성’, ‘내담자의 호소문제 파악’ 등 7개 항목으로 나타났다. 이를 기반으로 시사점과 향후 연구에 대한 제안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online vocational counselors supporting employment for career-interrupted women and to confirm the decision of the education priority. Accordingly, first,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on what educational contents are needed for the online vocational counselors to support employment of careerinterrupted women, and second, what are the educational needs of online vocational counselors to support employment of career-interrupted women. The sample was online vocational counselors supporting the employment of career-interrupted women in G-public organization.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reviewed the literature on subjects, and found out the necessary education for the online vocational counselors in G-public organization through open-ended questionnaires. Also, 5 experts participated in the development of the online vocational counselors educational contents and survey questionnaires. As statistical analysis, t-test was conducted to screen the tendency of needs. Borich s needs analysi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nalysis were used to decide priority of the educ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educational contents required for the online vocational counselors to support employment of career-interrupted women were constructed 40 items in 4 competency groups. The highest priority among needs was 10 items and the second priority was 7 item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some implica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남상숙(Sangsook Nam),강혜영(Hyeyoung Kang). (2020).경력단절여성 취업지원을 위한 온라인 직업상담사의 교육요구분석: G공공기관을 중심으로. 직업교육연구, 39 (4), 25-46

MLA

남상숙(Sangsook Nam),강혜영(Hyeyoung Kang). "경력단절여성 취업지원을 위한 온라인 직업상담사의 교육요구분석: G공공기관을 중심으로." 직업교육연구, 39.4(2020): 25-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