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전통 생활 문화 교육을 위한 스토리텔링 기반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 개발: 전통 문양과 오방색을 중심으로

이용수 281

영문명
Development of Maker Education Programs Based on Storytelling for Traditional Living Culture Education: Focusing on Traditional Patterns and Obangsaek(Korean Traditional Five Colors)
발행기관
한국가정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샛별(Kim, Saetbyeol)
간행물 정보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제32권 제1호, 51~7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3.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5 개정 고등학교 가정과 교육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 전통 생활 문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 제안하는 것이다. 가정 교과는 전통 생활 문화를 교과 내용으로 다루고 있으며, 현대생활에 적합한 새로운 문화를 재창조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것에 목적을 둔다. 기존 학교에서의 전통 생활 문화 교육은 이론 교육 위주 혹은 일회성의 체험 위주의 교육이 이루어져 왔다. 또한 주로 초등학생과 중학생 대상의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고등학생을 위한 프로그램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고등학생을 위한 가정과 프로그램을 개발해 전통 문화 교육의 발전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식, 한복, 한옥에공통적으로 다룰 수 있는 전통 문양과 오방색을 전통 생활 문화 교육 주제로 선정하고, ADDE의 단계를 따라 전통 생활 문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분석 단계에서는 2015 개정 고등학교 가정과 교육과정과 12종 가정 교과서의 만들기 활동, 교사와학습자의 생활 문화 교육에 대한 경험과 요구를 분석하였다. 설계 단계에서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스토리텔링 기반 메이커교육 모형 설계와 수업 주제 도출, 만들기 활동, 메이커 도구와 재료를 선정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전통 의⋅식⋅주 생활문화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평가 단계에서는 가정과 교육 전문가 12명을 대상으로 타당도 검사 및 피드백을받아 수정하여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추후 연구로 이 프로그램을 적용해 학생들의 전통 생활 문화에 관한 인식과 전통 생활문화의 발전과 계승 의지 등의 효과를 살펴보는 연구를 제언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the education program on traditional living culture for home economics(HE) based o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existing school curriculum for traditional living culture tends to overly focus on the theories about traditional culture and suffer from absence of continuity in learning activities. It can be argued that HE is an ideal subject for dealing with traditional living culture as it aims to develop students’ ability to recreate the traditional culture, meeting present needs and trends. This study, thus, attempted to present the practical ways of improving the quality of education on traditional living culture by developing HE education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To fulfill the purpose, this research, as a teaching topic, selected the traditional patterns and the “Obangsaek”(Korean traditional five colors) which can commonly be dealt with in the subjects of traditional Korean food, Korean costume and Korean style house. In particular, the program was developed following the ADDE process. In the stage of analysis, this article analyzed the HE curriculum and making activities included in HE textbooks based o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s well as the needs of teachers and students regarding traditional living culture education. In the stage of design, this study developed the instructional model, selecting class topics, tools and materials. In the stage of development, the programs on traditional living culture including costume, food and house were developed. In the evaluation phase, this research conducted the validity test and received the feedbacks from 12 HE educators in order to complete the programs. This study finally suggested that future studies in this area examine the effect of the presented programs on enhancing the students’ perception of traditional culture and the will of developing and succeeding the traditional living cultur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샛별(Kim, Saetbyeol). (2020).전통 생활 문화 교육을 위한 스토리텔링 기반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 개발: 전통 문양과 오방색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32 (1), 51-76

MLA

김샛별(Kim, Saetbyeol). "전통 생활 문화 교육을 위한 스토리텔링 기반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 개발: 전통 문양과 오방색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32.1(2020): 51-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