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조음능력 관련 변인 연구

이용수 127

영문명
A Study of Articulation Abilities and Feeding Functions on the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발행기관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저자명
김선희(Kim, Sun-Hee)
간행물 정보
『재활치료과학』재활치료과학 제9권 제1호, 79~90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2.28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들의 조음과 관련이 있는 변인들 중에서 연령, 운동기능 정도 및 섭식기능과 조음능력 간 변인에 대해 연구하는데 있다. 연구 방법 : 본 연구는 서울, 경기, 대구, 대전 및 부산 등에 거주하면서 재활의학과 전문의에 의해서 경직형 뇌성마비로 진단을 받은 2세 2개월∼7세 8개월(평균 4세 7개월) 범위의 남아 34명과 여아 2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때 조음능력인 구어 명료도, 교호운동 속도 및 교호운동 명료도를 종속변인으로 하고, 연령, 운동기능 정도 및 섭식 재질과 방법에 따른 구어 및 비구어 기제 기능을 독립변인으로 하여 중다회귀분석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 본 연구의 결과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들의 조음능력 중 구어 명료도는 섭식 방법 측면에서 컵으로 먹기와 숟가락으로 먹기 동안의 비구어 기제 기능에서 유의하였다. 교호운동 속도는 운동기능 정도와 섭식 재질 측면에서 죽으로 먹기 동안의 구어 기제 기능과 섭식 방법 측면에서 컵으로 먹기 동안의 비구어 기제 기능이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교호운동 명료도는 섭식 재질 측면에서 죽으로 먹기 동안의 구어 기제 기능과 섭식 방법 측면에서 컵으로 먹기 동안의 비구어 기제 기능에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결론 : 본 연구 결과,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들의 조음능력 관련 변인 중 섭식기능에 따른 구어 및 비구어 기제 기능과 운동기능 정도를 고려한 섭식기능 평가와 치료가 유용할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후속 연구로 뇌성마비 아동에게 적합한 섭식기능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 후의 조음능력 개선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매우 유용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ge, motor function, and characteristics of feeding and articulation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Methods : This study included 34 boys and 27 girls who lived in Seoul, Gyeonggi, Daegu, Daejeon, or Busan, and were diagnosed with cerebral palsy by rehabilitation doctors. A total of 61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were identified as dependent variables for verbal intelligibility, diadochokinesis speed and intelligibilit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 Verbal intelligibility among the articulating abilities of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non-speech mechanisms of cup drinking, and spoon feeding. Diadochokinesis speed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speech mechanism of porridge feeding, the non-speech mechanism of cup drinking, and motor function. Diadochokinesis intelligibility also showed significant results with regards to the speech mechanism of porridge feeding and the non-speech mechanism of cup drinking. Conclusion : It is useful to evaluate and treat eating function by considering speech and non-speech mechanisms and motor function, according to eating function, among the variables related to articulation ability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In addition, it would be very useful to study the improvement of articulation abilities after developing and applying a feeding program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선희(Kim, Sun-Hee). (2020).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조음능력 관련 변인 연구. 재활치료과학, 9 (1), 79-90

MLA

김선희(Kim, Sun-Hee).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조음능력 관련 변인 연구." 재활치료과학, 9.1(2020): 79-9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