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 실과, 기술 · 가정, 가정 과학 교과 내 의생활’ 영역의 연계성 분석

이용수 19

영문명
The Connection Analysis on the Areas of Clothing and Textiles in Practical Arts,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and the Science of Home Economics Courses
발행기관
한국가정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은주(Lee Eun Joo) 신혜원(Shin Hye Won)
간행물 정보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제19권 제1호, 1~14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3.31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초·중·고등학교 실과, 기술·가정, 가정과학 교과의 의생활’영역 내용을 분석하고, 의생활’영역을 세부영역으로 분류하여 수직적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자료는 의생활’영역을 포함하고 있는 초등학교 5학년, 6학년 실과 각 1종 교과서와 중학교 2학년과 고등학교 1학년의 기술 · 가정 각 8종 교과서 및 고등학교 가정 과학 3종 교과서로 총 21종 교과서를 선택하였다. 연계성은 내용 분석결과 의생활’영역을 6개영역, 48개 하위 세부영역으로 분류한 뒤 내용의 계속성과 계열성이 지속적일 때 「발전」으로, 계열성이 고려되지 않은 계속성은 「반복」으로, 계속성이 고려되지 않은 계열성을 「격차」로, 계속성과 계열성 모두 결여된 것을 「축소」로 보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의복 차림」과 「의복 관리」 영역의 연계 정도는 「축소」된 내용이 46.1%와 44.5%로 가장 많았다. 「의복 계획」 영역의 연계 정도는 「발전」된 내용은 없고 「반복」된 내용이 83.3%로 가장 많았다. 「의복 재료」 영역은 「격차」와 「발전」된 내용이 각각 55.6%와 44.4%로 나타났다. 「의복 구성」 영역은 「발전」된 내용이 50%로 가장 많았다. 「진로 탐색」 영역은 「발전」이 100%로 나타났다. 초등 실과와 기술 · 가정, 가정 과학 교과 내 의생활’ 영역의 전반적 수직적 연계정도는 「발전」된 내용이 29.2%로 가장 많았고, 「축소」와 「반복」된 내용이 각각 25%, 「격차」를 나타낸 내용이 20.8%로 나타났다. 「발전」된 내용이 「반복」, 「축소」, 「격차」가 이루어진 내용보다 많으므로 어느 정도 연계를 이루었다고 볼 수 있으나 학년 간 연계의 「발전」 정도가 현저히 높지 않기 때문에 교육내용의 수직적 연계가 매우 적절하다고 보긴 어렵다. 따라서 의생활’영역에 대한 연계성 분석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져 향후 교과과정의 방향을 제시하여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ontents of clothing and textile areas in practical arts,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and science of home economics courses, and the degrees of vertical connections among them. Totally 21 textbooks were chosen for this study, which consist of fifth and sixth grade practical arts textbooks(one from each grade), sixteen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eight from each eighth and tenth grade), and three high school science of home economics textbooks. In order to analyze systematically the degrees of vertical connections, clothing and textile areas were divided into 6 large sections, which were subdivided into 48 specific categories(contents) by content analysis. The method of connection analysis was based on development(constant continuity and sequence), repetition (continuity without considering sequence), gap(sequence without considering the continuity of curriculum), and reduction(the lack of both continuity and sequence). The connection analysis were done in 48 categories separatively. In the sections of clothing attire and clothing management, the most categories(46.1% and 44.5%) were evaluated as having connections of reductions. No category was analyzed as development in the section of clothing planning and the most categories(83.3%) had connections of repetitions. In the clothing material section, categories evaluated as gaps and developments were 55.6% and 44.4%. The clothing construction section showed to be the section with the most in-depth and expanded content compared to the previous educational levels, with developed categories of 50%. The most degree of connection in the clothing and textile areas of practical arts,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and science of home economics subjects was the development at 29.2%, followed by repetition at 25%, reduction at 25%, and finally gap at 20.8%. Developed categories were relatively more than repetitive, reduced, or gap contents. However, as the connection between grades was not highly outstanding, it was difficult to say that the connection of the curriculum was adequately distributed according to the school grad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고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은주(Lee Eun Joo),신혜원(Shin Hye Won). (2007).초등 실과, 기술 · 가정, 가정 과학 교과 내 의생활’ 영역의 연계성 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9 (1), 1-14

MLA

이은주(Lee Eun Joo),신혜원(Shin Hye Won). "초등 실과, 기술 · 가정, 가정 과학 교과 내 의생활’ 영역의 연계성 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9.1(2007): 1-1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