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등학교 가정과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한복과 창의적인 의생활’ 내용 요소를 중심으로

이용수 194

영문명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Home Economics Maker Education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Focusing on the Contents of Hanbok and Creative Clothing’
발행기관
한국가정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샛별(Kim Saetbyeol)
간행물 정보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제31권 제4호, 63~79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교육 현장 실정에 맞춘 가정과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연구자가 구축한 의생활 메이커스 페이스에서 실행해 가정과 메이커 교육의 효과를 평가하는데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가정과 메이커 교육 모형을 설계하고 가정과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가정과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은 메이커 교육 모형인 TMSI 모형과 Laster(1982, 2008)의 실천적 행동 수업 모형을 통합⋅수정하여 개발한 TPMS모형{팅커링(T: 4차시), 실천적 추론하기(P: 3차시), 함께 만들기(M: 4차시), 공유⋅확산하기(S: 1차시)}으로 총 12차시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가정과 메이커 프로그램의 주제는 ‘창의적인 전통 의생활 문화(한복)의 실천과 확산’이다. 둘째, 가정과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학생들은 가정과 메이커 수업이 5점 만점에서 체험적(4.26), 인지적(4.22), 감성적(4.18), 사회적(4.18), 실천적(4.10) 순으로 긍정적 효과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본 연구가 1차 교육과정 시기부터 만들기 활동을 통해 다양한 교육적 목적을 꾀해온 가정 교과의 실습 교육에 기여가 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valuable maker education programs by implementing and evaluating a Home Economics(HE) maker education program developed based on the content of Hanbok and Creative Clothing for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E maker education model for high school students was designed and developed. The HE maker education model was developed by integrating and modifying the TMSI model of the maker education model and Laster’s HE practical action teaching model. The HE maker education model consisted of 4 steps: tinkering(T: 4-hour class), practical reasoning(P: 3-hour class), making together(M: 4-hour class), and sharing and spreading(S: 1-hour class) with a total of 12-hour lesson plans. The theme of the developed HE maker program is Practice and spread of creative traditional culture of life (Hanbok) . Second, the results of online survey of 240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maker class showed that HE maker class had positive effects in the order of experiential(4.26), cognitive(4.22), emotional(4.18), social(4.18), and practical(4.10). It is expected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diversifying the curriculum of Home Economics,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of Home Economics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V.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샛별(Kim Saetbyeol). (2019).고등학교 가정과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한복과 창의적인 의생활’ 내용 요소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31 (4), 63-79

MLA

김샛별(Kim Saetbyeol). "고등학교 가정과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한복과 창의적인 의생활’ 내용 요소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31.4(2019): 63-7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