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소년기 학교폭력 경험이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 가족 내 사회자본 조절효과 -

이용수 219

영문명
Influence of school violence experience on self-identity of adolescents: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family social capital
발행기관
한국가정과교육학회
저자명
박재은(Park, Jae Eun) 유난숙(Yu, Nan Sook)
간행물 정보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제28권 제2호, 95~111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6.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기 학교폭력 경험이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학교폭력 경험과 자아정체감의 관계에서 가족 내 사회자본에 따른 조절효과가 있는 지 분석하는 데 있다. 분석을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KCYPS) 중에서 중1패널 3차년도(2012)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통계프로그램은 IBM SPSS Statistics 22.0 version이었으며, 기술통계, 피어슨 상관 계수, 독립 t검정,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정체감과 학교폭력 경험(비행가해 및 피해), 가족 내 사회자본(부모의 관심애정 및 친구인지)의 평균을 분석한 결과 자아정체감, 가족 내 사회자본 하위요인인 부모의 관심애정과 친구인지는 평균보다 다소 높았고, 학교폭력 경험 하위요인인 비행 가해경험과 피해경험은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자아정체감, 학교폭력 경험(비행가해 및 피해), 가족 내 사회자본(부모의 관심애정 및 친구인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비행피해, 부모의 관심애정, 부모의 친구인지가 자아정체감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회귀 분석 결과 통제변수 중에서는 성별, 모친의 최종학력, 또래애착이 자아정체감의 영향력을 높이며 유의미하였고, 학교폭력 경험 하위요인인 비행가해는 정적 관계로, 비행피해는 부적 관계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졌으며, 가족 내 사회자본의 하위요인인 부모의 관심애정과 친구인지도 모두 정적 관계로 자아정체감의 영향력을 높이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넷째, 학교폭력 경험(비행가해 및 피해)과 자아정체감의 관계에서 가족 내 사회자본(부모의 관심애정 및 친구인지)의 조절효과에 대한 분석결과 비행가해에 대한 부모의 관심애정, 비행가해에 대한 부모의 친구인지, 비행피해에 대한 부모의 친구인지의 상호작용항을 투입했을 때는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비행피해와 부모의 관심애정 상호작용항을 투입했을 때는 부(-)의 상호작용 효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mong self-identity, school violence experience, and family social capital of adolescents and examined influence of school violence experience on self-identity and moderating effect of family soci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violence experience and self-identity. Data used for analysis was from 7th grade students in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in 2012.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the IBM SPSS program for demographic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es.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was slightly higher for self-identity, parents’ affectionate attention, and awareness of their child’s friends; the average was lower for misconduct experience and victimization experience; second, there was a weak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lf-identity and bully victimization;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identity and family social capital (parents’ affectionate attention and awareness of their child’s friends). Thir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chool violence experience (bullying and bully victimization) on self-identity,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Bullying had a statistically positive influence on self-identity and bully victimization had a statistically negative influence on self-identity; both parents’ affectionate attention and awareness of their child’s friends had a statistically positive influence on self-identity; fourth, parents’ affectionate attention had a statistically nega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self-identity; therefore, it signifie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bully victimization and self-identity appears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parents’ affectionate attention, which means that the parents’ affectionate atten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self-identity of the adolescents who were victimized by school violence.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재은(Park, Jae Eun),유난숙(Yu, Nan Sook). (2016).청소년기 학교폭력 경험이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 가족 내 사회자본 조절효과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8 (2), 95-111

MLA

박재은(Park, Jae Eun),유난숙(Yu, Nan Sook). "청소년기 학교폭력 경험이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 가족 내 사회자본 조절효과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8.2(2016): 95-11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