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 교사의 통합학급 운영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이용수 422

영문명
A Study on Autoethnography in Inclusive Classroom Management of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발행기관
한국통합교육학회
저자명
강윤아(Kang Yoon Ah) 신현기(Shin Hyun Ki)
간행물 정보
『통합교육연구』제14권 제1호, 1~2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5.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통합학급을 운영하는 특수교육 비전공자인 한 초등학교 교사의 경험을 통해 초등학교 교사들이 통합학급을 운영하면서 겪는 어려움과 학급 운영 과정에서 부딪히는 한계의 원인을 탐색함으로써 향후 원활한 통합교육을 위해 고려되어야 할 점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로 ‘첫째, 초등학교 교사인 연구자가 통합학급 교사로서 자리매김하는 과정은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교 교사인 연구자가 통합학급 교사로서 자리매김하는 과정 속에서 직면하는 경험은 무엇인가?’를 설정하였다. 첫째 연구문제의 결과, 특수교육을 전공하지 않은 초등학교 교사인 연구자가 ‘통합학급 운영에 대한 무관심’,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장애학생과 만남에 따른 막막함’, ‘일반학급 교사가 아닌 통합학급 교사가 되어야 한다는 책임감’을 느끼면서 통합학급 담임교사로서 점차 자리매김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연구문제의 결과, 1) ‘통합학급 운영 준비가 된 담임교사에 비교한 통합학급 운영 준비 과정에 있는 담임교사로서의 경험’, 2) ‘특수교육 제공 필요성에 비교한 통합교육 제공의 필요성 이해 과정에서의 경험’, 3) ‘특수교육대상 학생 학부모의 특수교육 담임교사 인식에 비교한 통합학급 담임교사 인식 이해에서의 경험’, 4)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독립적 교육 수행에 비교한 협력적 교육 수행의 필요성 이해 과정에서의 경험’으로 유목화 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교 교사가 통합학급 운영 경험 속에서 직면하는 어려움을 극복하여 원활한 통합교육을 구현해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what should be considered for smooth inclusive education, by exploring the difficulties and limitation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did not major in special education, through the life of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who manages an inclusive class. I aske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is the process of establish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as inclusive class teachers? Second, what are the experiences faced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as inclusive class teacher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shows the process of growth as an inclusive class teacher through the researcher s feelings. There was a gradual change to ‘indifference to the management of inclusive classes’ to ‘discomfort due to non-prepared meetings’ to ‘the responsibility of an inclusive class teacher instead of a teacher’. Second, the experiences were categorized as follows: 1) ‘In contrast with teacher who is prepared to manage an inclusive classroom, experiences as a teacher who is in preparation for an inclusive classroom teacher’, 2) ‘In contrast with need to provide special education, experiences in understanding the need to provide inclusive education’, 3) ‘In contrast with the perception of special classroom homeroom teacher, experiences in understanding the perception of inclusive classroom homeroom teacher’, 4) ‘In contrast with independent education of special classroom teacher and inclusive classroom teacher, experiences in understanding the need for co-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 suggested ways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fac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experiences of managing inclusive classrooms and to realize smooth inclusive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통합학급 운영 경험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윤아(Kang Yoon Ah),신현기(Shin Hyun Ki). (2019).초등학교 교사의 통합학급 운영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통합교육연구, 14 (1), 1-28

MLA

강윤아(Kang Yoon Ah),신현기(Shin Hyun Ki). "초등학교 교사의 통합학급 운영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통합교육연구, 14.1(2019): 1-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