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내 자존감 향상 프로그램 메타분석

이용수 141

영문명
Meta-analysis of self-esteem improvement program
발행기관
교육종합연구원
저자명
김근곤(Kim Keun Kon) 임신일(Im Shin Il) 박일선(Park Il-Sun)
간행물 정보
『교육종합연구』제13권 제1호, 21~4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3.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2006년부터 2014년까지 발표된 국내 연구물(학술지, 학위논문)을 대상으로 자존감 향상 프로그램의 연구 결과들을 메타분석하였다. 메타분석이 가능한 논문은 인터넷 DB를 활용하여 수집하였다. 여러 과정을 거쳐 최종 240편의 논문이 선정되었고, CMA프로그램을 활용하여 721개의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메타분석의 결과, 자존감 향상 프로그램의 전체크기 효과는 1.014로 나타났으며 이는 실험집단의 평균 효과크기가 통제집단 분포의 84 백분위점수에 해당하는 높은 값으로 해석 할 수 있다. 자존감 향상 프로그램의 구성별 효과크기는 첫째, 연구 일반 특성별 효과크기를 지역, 대상자 소속, 출처(학위논문, 학술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둘째, 프로그램 운영별 효과크기는 인원, 처치기간, 처치횟수, 처치시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셋째, 프로그램 유형(대인관계, 독서치료, 심리치료, 예술치료, 인지-행동, 자기성장, 정서, 진로, 교과학습, 모래놀이치료 접근)과 출처별 효과크기를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넷째, 프로그램 유형과 대상자 소속별(초등, 중등, 고등, 학교급 통합, 학교를 다니지 않은 청소년)로 평균 효과크기를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이 연구는 자존감 향상 프로그램의 최근 동향을 분석함에 매우 큰 의미가 있다. 이 연구의 제한점과 더불어 향후 연구의 효과적인 실행방안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self-esteem improvement program. Out of domestic theses and journals published from 2006 to 2014, 240 studies had been collected by accessing internet database. The effect sizes of 721 were calculated among 240 studies that were selected through several steps using CMA program.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self-esteem improvement program was 1.014 that is significantly high. This average effect size of the experimental group is 84 Percentile high as much as the average effect size of the distribution of the control group. The first, the effect sizes of the self-esteem improvement program were examined depending on the district, school or group that participants belong to and the source(theses, journals). The second, the effect sizes according to the way of operating program were studied depending on the size of group, treatment period, treatment rate, and treatment hour. The third, the average effect sizes were examined according to program types(personal relationship, literary therapy, psychological therapy, art therapy, cognitive behavior, self-growth, emotion, career, coursework, and sand tray therapy) depending on sources of study. The fourth, the average effect sizes depending on each school or group of participants(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high school, combined schools of various level and out-of-school youths) were examined so the most effective program types at each school or group were analyzed. This study plays a very significant role in the trend analysis of the self-esteem improvement program that many studies have being conducted about up to now. The study suggests how to implement future study effectively with the limitations in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근곤(Kim Keun Kon),임신일(Im Shin Il),박일선(Park Il-Sun). (2015).국내 자존감 향상 프로그램 메타분석. 교육종합연구, 13 (1), 21-42

MLA

김근곤(Kim Keun Kon),임신일(Im Shin Il),박일선(Park Il-Sun). "국내 자존감 향상 프로그램 메타분석." 교육종합연구, 13.1(2015): 21-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