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파트등 연결송수관설비 공급압력범위 설정에 관한 연구
이용수 2
- 영문명
- A Study on the Settings of the Supply Pressure Range for Fire Department Connections to Apartments
- 발행기관
- 한국화재소방학회
- 저자명
- 서주완(Joo-Wan Seo) 이승철(Seung-Chul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Vol.38 No.6, 112~120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다수의 소방설계업체에서는 아파트등 연결송수관설비의 가압송수장치 용량을 선정할 때 단지 내에서 가장 높은동 실양정과 가장 먼 동까지의 배관 및 부속류 마찰손실을 고려하여 설계유량 1,200 L/min으로 정하고 있다. 그러나이러한 방식은 화재 발생 시 선착소방대의 실제 필요 유량보다 설계용량 과다로, 화재 발생 층과의 마찰손실 차이로고층부 공급압력 변동의 원인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신축된 아파트등 10개소의 현지조사와 그중 3개소고층부 송수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연결송수관설비 활용 전술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가압송수장치정상 작동 시 소방펌프차의 공급압력은 0.3 MPa 이상부터 점진적으로 높여 송수한다. 이는 고층부 과압발생으로부터 소방관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둘째, 가압송수장치 미작동 시에는, 화재층 층고에 필요한 양정 50 m (흡입수두 +소방펌프차 공급압력)를 더한 압력으로 송수한다. 여기서, 필요양정 50 m는 가압송수장치까지의 흡입수두와 소방펌프차 공급압력의 합으로 산정이 가능하다.
영문 초록
When selecting the capacity of the pressurized water supply system for fire department connection facilities, such asapartments, many fire design companies set the design flow rate at 1,200 L/min while considering the friction loss in pipesand accessories to the highest apartment block of the actual head and the farthest apartment block in the complex. In thisstudy, 10 field surveys, including those of recently built apartments, and three high-rise water supply experiments wereconducted. The study presents a strategy for using fire department connection facilities as follows. First, during the normaloperation of the pressurized water supply device, the supply pressure to the fire engine vehicle is gradually increased from0.3 MPa or higher to transmit water. This protects firefighters from high-pressure increases. Second, when the pressurizedwater supply device is not operated, it is transmitted at a pressure equivalent to 50 m of head (net positive suction head +fire engine vehicle supply pressure) required for the height of the fire floor. Here, the required head of 50 m can becalculated as the sum of the suction head up to the pressurized water supply device and the supply pressure of the fireengine vehicle.
목차
1. 서 론
2. 연결송수관설비 실태조사
3. 실험방법 및 절차
4. 실험결과
5. 결 론
6. 연구의 제한사항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제38권 제6호 목차
- 산불화재모델의 지형정보 처리방식이 화재전파에 미치는 영향
- 구획 화재에서 개구부 형상에 따른 분출 화염 특성에 대한 수치해석 연구
- 고압 수소탱크 폭발특성에 대한 단순모델 및 전산해석의 예측성능 비교 연구
- 실대형 연소 실험을 통한 대공간 구획 천장부에서의 온도 성장에 대한 연구
- 연료의 화재면적 변화로 인한 기하학적 형상이화재모델링 분석에 미치는 불확실성 영향평가
- 전기차 화재 대응을 위한 수계 소화시스템의 실규모 소화 실험
- Si 기반 RGB color 센서와 기존 화재 감지 센서들의화재 감지 특성 비교 분석에 관한 연구
- 동관 스프링클러 누수 사고에 CS-NR의 적용을 통한 부식억제 효과 고찰
- 의용소방대가 인식하는 재난취약계층의재난불평등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냉동창고에 설치된 공기흡입형 연기감지기 외기노출 실험 및결로 현상 감지 방법에 관한 연구
- 경량화 기술 기반 컨볼루션 신경망 모델의 화재 감지 성능 분석에 관한 연구
- 아나필락시스 반응 환자의 구급활동 현황 및 개선방안: 대전광역시를 기준으로
- 아파트등 연결송수관설비 공급압력범위 설정에 관한 연구
- 설문조사 기반 만족도 분석을 통한 공기호흡기 개선 방향 제시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