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역별 119구급대 반응시간 충족 현황과 관련 요인: 85개 시·군·구를 중심으로
이용수 2
- 영문명
- Status of 119 Ambulance Response Time Compliance and Associated Factors by Region: Focusing on 85 Si-gun-gu
- 발행기관
- 국립소방연구원
- 저자명
- 권혜지(Hyeji Kwon) 신영전(Youngjeon Shin)
- 간행물 정보
- 『소방안전연구』제5권, 103~12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02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119구급대 반응시간 현황과 반응시간의 중앙값 충족 여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2022년에 작성된 구급활동일지를 85개. 시·군·구 단위로 분석하였다 85개 시·군·구 119구급대 반응시간 중앙값은 RTt 37분, RT₁ 10분, RT₂ 1분, RT₃ 15분이었다. RT₁ 중앙값은 7분(부산 동구·울산 동구), 17분(전남 신안군)으로 지역 간 격차가 있었다. RT₁이 9분 이내인 비율도 64.6%(부산 동구), 17.4%(전남 신안군)로 차이가 있었다.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면적당 119구급차수가 많을수록 RT1-9가 9분 이내일 가능성이 높았다(OR=9.160, 95% CI:1.179-91.594). 지역의 면적 당 구급자원 배치 증가를 통해 119구급대 반응시간을 단축하고 지역 간 격차를 줄여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emergency activity reports for 2022 from 85 local governments to the factors that affect the time and median time of emergency events. The median 119 ambulance response times in the 85 cities and counties were 37 minutes RTt, 10 minutes RT₁, 1 minute RT₂, and 15 minutes RT₃. The median RT₁ was 7 minutes (Dong-gu, Busan and Dong-gu, Ulsan) and 17 minutes (Sinan-gun, Jeollanam-do), with disparities between the regions. The proportion of RT₁s met within 9 minutes (RT1-9) was also different, with 64.6% (Dong-gu, Busan) and 17.4% (Sinan-gun, Jeollanam-do).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a higher number of 119 ambulances per area was associated with a higher likelihood of meeting RT1-9 (OR = 9.160, 95% CI:1.179-91.594). The deployment of 119 emergency resources per square meter of area needs to be increased while reducing regional disparities in response tim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분석 결과
Ⅳ. 연구의 함의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딥러닝 기반 현미경의 전선 단락흔 감식 적용 가능성과 델파이를 이용한 도입 방안 연구
- 화재·피난시뮬레이션에 의한 대형마트의 피난안전성 향상방안
- 수소 탱크 폭발 사례와 ALOHA 프로그램의 비교 분석 및 프로빗 평가
- 대한민국 국제구조대응능력 강화를 위한 INSARAG NAP 및 IRNAP 제도 도입 전략: 시스템 비교와 적용 가능성
- 지역별 119구급대 반응시간 충족 현황과 관련 요인: 85개 시·군·구를 중심으로
- 실습형 안전교육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소방안전의식에 미치는 영향
- 2023 홍성 대형 산불로 인한 온실가스별 지역 주민 건강 피해 영향 분석
- 소방 행정의 실효성 확보수단에 대한 비교법적 연구
- 공포감이 소방 현장 업무에 미치는 영향 분석: 델파이(Delphi)와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여
- 소방공무원 국가직 전환 정책변동에 관한 연구: 단절균형이론을 중심으로
- 아파트 간이 및 호스릴 옥내소화전설비의 소방호스 전개 시간 분석
- 소방안전연구 제5권 목차
- 유류화재 증거물의 검지 가능 기간 및 감식기법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