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역 문예회관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지역 특성 요인의 유의성 검증
이용수 13
- 영문명
-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he Revitalization of Local Cultural and Arts Centers: Focusing 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 발행기관
- 한국지방공기업학회
- 저자명
- 김윤경(Yun Kyoung Kim) 김선민(Sun Min Kim) 이삼열(Sam Youl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지방공기업학회보』제20권 제1호, 1~2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과거 지방분권화와 최근 지방균형발전이 강조되는 배경 속에서 지역 문화의 발전과 지역민의 문화적 삶을위해 설립된 지역 문화예술회관(문예회관)의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둔다. 특히 최근 인구감소, 지역소멸, 고령화, 청년 이탈, 지역 경제 둔화 등 지역이 갖고 있는 다양한 사회적, 경제적 특성들이 지역 문예회관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의 유의성을 검증함을 통해 현재 지역이 갖는 한계와 문예회관 활성화 간의 인과관계를 살펴보고 문예회관 활성화를 위한 지역 문화정책의 향후 전략을 제언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감사원의 인구구조변화실태III (지방행정) 감사보고서 내용 중 2016년도부터 2020년도까지의 문예회관 공연 분야 데이터를 기반으로 중소도시 문예회관 총 53개 대상 패널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전문공연단체의 입주와 공연기획 및 사업을 운영하는 전문인력을 통한 운영 전문성이 높을수록, 그리고 순수예술과 대중예술의 기획 및 대관 공연의 가동성이 높을수록 문예회관의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지역 특성은 문예회관 활성화와 유의한 인과관계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지역 문예회관을 비롯한 지역 문화예술시설의 활성화를 제고하기 위해선 지역이 현재갖고 있는 물리적 한계나 사회적, 경제적 문제에 고립되어 있지 말고 문화예술 기획 및 실연을 담당할 전문인력과 양질의 예술 프로그램을 활발히 투입할 것을 지원할 제도와 정책의 변화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문화예술시설의 브랜딩을구축하여 지역 문화 발전을 이룩하는 데 힘써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revitalization of local cultural and arts centers, which have been established to foster regional cultural development and enhance the cultural lives of local residents, within the context of past decentralization efforts and recent emphasis on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Specifically, the study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various social and economic conditions affecting local area, such as population decline, regional extinction, aging populations, youth outmigration, and economic slowdown, on the revitalization of local cultural and arts centers. By investigating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current limitations of local areas and the activation of local cultural and arts centers, the study seeks to propose future strategic directions for regional cultural policies to enhance the vitality of these centers.
The research employs a panel regression analysis on data from 53 local cultural and arts centers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using performance-related data from 2016 to 2020, as detailed in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s report on the Status of Population Structure Change III(Local Administration). The analysis reveals that higher operational expertise, achieved through the residency of professional performance groups and the employment of specialized personnel for performance planning and related projects, as well as higher operational capacity for hosting and planning both fine and popular art performances, positively impact the revitalization of local cultural and arts centers. However, regional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 with the activation of local cultural and arts centers. Consequently, to enhance the activation of cultural and arts facilities, including local cultural and arts centers, local areas should not remain constrained by their current physical limitations or social and economic issues. Instead, efforts should focus on developing regional culture through the branding of cultural and arts facilities, facilitated by necessary changes in systems and policies that allow for the continuous infusion of professional personnel and high-quality art programs into local cultural and arts centers.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분석 개요
Ⅳ. 분석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