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VR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활용한 핵심간호술기 실습교육 효과 : 근육주사를 중심으로
이용수 97
- 영문명
- The Effects of Virtual Reality(VR) Simulation Program in Core Nursing Skills Training: Focusing on Intramuscular Injection
- 발행기관
- 한국간호연구학회
- 저자명
- 이성화(Sung Hwa Lee) 강성금(Sung Gum Kang) 안은선(Eun Seon An) 이지현(Ji Hyea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간호연구학회지』제8권 제3호, 79~90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VR simulation programs in the practical education of core nursing skills for nursing students. Methods : A quasi-experimental design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ost-test design was employed. A total of 49 nursing students were part of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50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control group. Data were collected from February 26 to June 28, 2024. The educational program was held 10 times, with each session lasting 30 minutes per student. The post-test was administered at the conclusion of the experiment. Results :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re nursing skills performance was observed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core nursing skills performance confidence or nursing activity participation in during clinical practice. Conclusion : The VR simulation program improved nursing students’ core skill performance. The lack of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re nursing skills performance confidence and nursing activity participation in during clinical practice indicates that a VR simulation program and practice education with skill trainer are equally effective. This study provides a foundation for developing various practical education programs using VR simulation.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인간중심간호 영향요인
- 간호대학생의 액션러닝을 활용한 간호리더십개발 수업운영 효과
- 호스피스 교육프로그램이 교육참여자의 죽음 두려움과 호스피스 인식에 미치는 효과
- 주관적 특발성 이명환자의 이명 대처 경험: 현상학적 연구
- 코로나19를 경험한 졸업 학년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 행동에 미치는 요인
-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직무만족, 간호업무환경, 대인관계 유능성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VR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활용한 핵심간호술기 실습교육 효과 : 근육주사를 중심으로
- 종합병원 MZ세대 신규간호사의 직무몰입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개인-환경적합성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간호학분야 BEST
- 인공지능을 적용한 국내 간호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청소년의 취침 전 스마트폰 사용 시간과 수면의 질과의 관련성
- 간호대학생의 인공지능에 대한 지식, 인식 및 수용태도가 인공지능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의약학 > 간호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과 간호사 대상 시뮬레이션 기반 환자안전교육에 대한 주제범위 문헌고찰
- 초기 당뇨병 환자의 안저검사 수검 관련 요인
- 전문대학 간호학과 임상실습교육의 현황과 임상간호교수제에 대한 인식 조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