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관상동맥 CT와 심근관류 CT 검사를 이용한 고농도 조영제와 저농도 조영제 간 비교 평가
이용수 22
- 영문명
- Comparative Assessment between High- and Low-Concentrate Contrast Media with Coronary Computed Tomography Angiography and Computed Tomography-Myocardial Perfusion Imaging
- 발행기관
- 대한CT영상기술학회
- 저자명
- 차성진(Sung-Jin Cha) 고동희(Dong-Hee Ko) 전필현(Pil-Hyeon Jeon) 고성민(Sung-Min Ko)
- 간행물 정보
-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제26권 제1호, 5~15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CT 기술의 발전으로 저관전압 사용할 수 있으면서 저농도 조영제의 임상적 유용성이 점차 입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환자의 혈역학적 분포와 심근의 평가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관상동맥 CT(Coronary Computed Tomography Angiography; CCTA) 검사와 역동적 심근관류 CT(Computed Tomography-Myocardial Perfusion Imaging; CT-MPI) 검사를 통하여 고농도와저농도 조영제 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CCTA의 조직과 혈관에 대한 정량적 분석에서 고농도 조영제가 5~10% HU가 높았지만, 유의확률이 0.05 이상으로 나타났다. CCTA와 CT-MPI를 통한 심근 평가 결과 두 조영제 간 차이가 5% 이내였으며 유의확률이 0.05 이상으로 나타났다. 정성적 분석은 다섯 가지 범주로 명목적인 측정을 하였고 저농도 조영제와 고농도 조영제 간의 유의확률 0.05 이상으로 유의미한 차이점을 밝혀내지 못했다. 본 연구는 고농도와 저농도 조영제를 CCTA와 CT-MPI 검사에 적용하여 기존의 연구들과 차별성을 가졌다. CCTA와 CT-MPI를 통한 분석에서는 고농도 조영제를 사용한 영상보다저농도의 영상이 열등하지 않다는 결과를 보여준다. 연구 대상자의 표본이 더 모이고 본 연구에서 제시한 한계점을 극복한다면 CCTA와 CT-MPI에서 고농도 조영제를 사용하는 기존의 검사법에서 벗어나 저농도 조영제를 사용함으로써 환자의 조영제 부작용에 대한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With the advancement of CT technology, the use of low tube voltages, and the clinical efficacy of low-concentration contrast media are gradually being demonstrated.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differences between high- and low-concentration contrast media using Coronary Computed Tomography Angiography (CCTA) and Computed Tomography-Myocardial Perfusion Imaging (CT-MPI). These imaging techniques can simultaneously evaluate the patient's hemodynamic distribution and myocardium.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tissues and blood vessels in CCTA showed that high-concentration contrast media led to a 5 to 10% increase in Hounsfield Units (HU), but the probability of significance was greater than 0.05. As a result of myocardial evaluation using CCTA and CT-MPI,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contrast agents was within 5%, and the probability of significance was greater than 0.05. Qualitative analysis utilized nominal measurements in five categories and did not reveal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low- and high-concentration contrast media with a significance probability greater than 0.05. This study differed from existing studies by utilizing high- and low-concentration contrast media for CCTA and CT-MPI examinations. Analysis using CCTA and CT-MPI shows that low-concentration images are not inferior to images obtained using high-concentration contrast media.
목차
Ⅰ. INTRODUCTION
Ⅱ. MATERIAL AND METHODS
Ⅲ. RESULT
Ⅳ. DISCUSSION
Ⅴ.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제26권 제1호 목차
- 관상동맥 CT와 심근관류 CT 검사를 이용한 고농도 조영제와 저농도 조영제 간 비교 평가
- 관상동맥 CT 조영 검사 시, 초 고해상도 딥러닝 알고리즘이 적용된 스텐트 영상의 진단적 가치
- Alberta Stroke Program Early CT Score 활용한 급성 및 만성 뇌경색 차이 분석
- CT Urology에서 가돌리늄 조영제 제거를 위한 이중에너지 CT의 Virtual Non-Contrast 기술의 평가
- 갑상선 CT에서 스캔 파라메터 변화에 따른 선속 경화 현상 저감에 관한 연구
- 저선량 복부 CT검사에서 정량적인 지방 측정을 위한 딥러닝 알고리즘의 적용
- 조영 증강 CT 검사 시 금식 여부에 따른 조영제 과민반응 사례 비교
- 조영증강 복부 CT 검사에서 조영제 사용량 감소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방사선학과 학생 실습환경에 관한 연구: 실습실 내 미세먼지, 휘발성유기화합물 위해도를 중심으로
- 임상에서 사용되는 온장고 온도설정 및 한계점에 대한 고찰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추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55Fe와 59/63Ni의 화학분리 중 목적원소 및 방해원소 거동 특성 연구
- 진단참고 준위를 적용한 선량 변화에 따른 영상 품질의 변화 평가
- 호주 방사선 의료 전문가 면허제도 및 교육과정 고찰: 진단방사선사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