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용혈검체가 핵의학 검체검사 결과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 of Hemolysis sample on the Result of Nuclear Medicine Blood test
- 발행기관
- 대한핵의학기술학회
- 저자명
- 김진태(Jin-Tae Kim) 이종필(Jong-Pil Lee) 이수빈(Soo-Bin Lee) 김동민(Dong-Min Kim)
- 간행물 정보
- 『핵의학기술』Vol.25 No.1, 41~43쪽, 전체 3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5.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용혈 검체는 혈액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이다. 핵의학 분야 또한 용혈 검체를 부적합검체를 분류하고 채혈실에 재 채혈을 요구하기도 한다. 이는 신속한 검사를 진행해야 하는 검사실 입장에선 장애 요소이기도 하다. 그러나 진단검사의학에서는 용혈이 각 검사 종목에 미치는 영향이 많이 알려진 반면, 핵의학에서는 용혈이 얼마나 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실험을 통해 알려진 바가 없어 알아보고자 한다.
먼저, 19명의 환자에서 한 명당 각2개의 검체를 획득하고, 하나는 정상적인 혈청을 얻고, 다른 하나는 인위적으로 용혈혈청을 획득했다. 그리고 각 종목별(AFP, CEA, PSA, CA-125, CA19-9, Thyroglobulin, Prolactin, E2, Insulin, T3, T4, TSH, FT4, TG-Ab, Anti-TPO, TBII, LH, FSH, Testosterone, PTH, DHEA-s, Cortisol, C-peptide)로 검사를 실시 한 후, 용혈검체와 정상 검체간의 결과값을 t-test를 통하여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확인해 보았다.
실험 결과 키트 내 매뉴얼에 용혈검체를 사용하지 않도록 한 검사 종목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종목에서 용혈이 핵의학 검사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인슐린과 C-peptide의 경우에는 용혈검체가 정상검체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5).
검체의 수가 적어 모든 검사 결과에 일반화 시킬 수는 없으나, 모든 용혈 검체를 부적합 검체로 간주하여 재채혈을 요구할 필요가 없음 또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복잡한 핵의학 검사실의 접수 업무 개선에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영문 초록
Purpose In nuclear medicine blood tests, hemolysis samples are considered as inappropriate sample and are recommended not to be used for blood test. So, the lab are required to collect the blood again in the blood collection room However, The effect of hemolyzed samples on radioimmunoassay has not studied yet.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effects of hemolysis on radioimmunoassay.
Materials and Methods The kit manuals of 23 test items were reviewed to confirm whether hemolyzed samples were used. The subjects were 19 general applicants(male : 9, female : 13) and the samples were collected by each two SST tubes, one tube was obtained by centrifugation normally, and the other was obtained hemolyzed sample by centrifugation after external shock. It has been known that highly hemolyzed samples can affect the test results, so the test was performed using the severe hemolyzed sample. The test was performed for each test item using 23 normal serum and hemolysis serum, and SPSS19 program was used for statistical comparison of the test result.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ormal serum and hemolysis serum in 21 of 23 test items, but the results of insulin and C-peptid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P<0.05).
Conclusion It has been known that hemolysis in blood samples can affect the results of biochemical and hematological test, However, hemolysis effect is relatively low. Similarly, this study showed that hemolysis had not much effect on most of immunological radioimmunoassay except for some tests.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the demand for re-collection due to hemolysis will be reduced in the laboratory, which will improve the work process of the laboratory.
목차
서 론
실험 재료 및 방법
결 과
고 찰
결 론
요 약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방사선학과 학생 실습환경에 관한 연구: 실습실 내 미세먼지, 휘발성유기화합물 위해도를 중심으로
- 임상에서 사용되는 온장고 온도설정 및 한계점에 대한 고찰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추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55Fe와 59/63Ni의 화학분리 중 목적원소 및 방해원소 거동 특성 연구
- 진단참고 준위를 적용한 선량 변화에 따른 영상 품질의 변화 평가
- 호주 방사선 의료 전문가 면허제도 및 교육과정 고찰: 진단방사선사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