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여성의 사회적기업 창업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이용수 23
- 영문명
-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 of Women Starting Social Enterprises
- 발행기관
- 한국비영리학회
- 저자명
- 권현경(Hyun Kyung Kwon)
- 간행물 정보
- 『한국비영리연구』제22권 제2호, 3~2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여성의 사회적기업 창업 결정 및 운영 과정에서의 경험과 의미를 살펴보고 분석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창업 후 5년 이내 여성 사회적기업가로, 6명을 심층 면담하여 창업 동기, 창업 준비 빛 결정 과정, 사업 운영 경험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해 도출한 주요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의 사회적기업 창업 동기는 개인적 경험 속에서 발견한 문제를 사회문제로 인식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둘째, 여성 사회적기업가들은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하는 과정에서의 고민과 더불어 여성으로서 극복해야 하는 도전과제들 속에서 많은 부담을 가지고 있었다. 셋째, 여성들은 이러한 복합적인 어려움 속에서도 사회적기업가로 성장해 나가면서, 지속가능한 가치 창출을 통해 소셜 미션을 실현해가고 있었다. 본 연구는 미래사회에서 여성이 사회저기업 창업을 통해 잠재된 역량을 활용하고 더 많은 사회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창업 생태계 측면에서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examining and analyzing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women's social enterprise start-up decisions and operation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female social entrepreneurs within five years of starting a business, and six people were interviewed in-depth to analyze their motivation for starting a business, preparation and decision-making process, and business operation experience. The main conclusions and suggestions derieved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omen’s motivation for starting a social enterprise starts with recognizing problems found in their personal experiences as social problems. Second, female social entrepreneurs had a lot of burdens and challenges to overcome as women, as well as concerns in the process of pursuing social and economic values at the same time. Third, women were realizing social missions by creating sustainable values while growing into social entrepreneurs despite these complex difficulties. This study suggested that in the future society, various efforts are needed in therms of the start-up ecosystem so that women can utilize their potential capabilities and create more social values.
목차
Ⅰ. 서론
Ⅱ.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