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4,4’-Methylenedianiline의 환경매체별 위해성평가
이용수 129
- 영문명
- Ecological Risk Assessment of 4,4’-Methylenedianiline
- 발행기관
- 한국환경보건학회
- 저자명
- 김현수 이대엽 우경숙 유시은 이인혜 지경희 서정관 조훈제
- 간행물 정보
- 『한국환경보건학회지』제49권 제6호, 334~343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공학 > 환경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Background: South Korea’s Act on Registration and Evaluation, etc. of Chemicals (known as K-REACH) was
established to protect public health and the environment from hazardous chemicals. 4,4’-Methylenedianiline
(MDA), which is used as a major intermediate in industrial polymer production and as a vulcanizing agent
in South Korea, is classified as a toxic substance under the K-REACH act. Although MDA poses potential
ecological risks due to industrial emissions and hazards to aquatic ecosystems, no ecological risk assessment
has been conducted.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ecological risk of MDA by identifying the actual exposure
status based on the K-REACH act.
Methods: Various toxicity data were collected to establish predicted no effect concentrations (PNECs)
for water, sediment, and soil. Using the SimpleBox Korea v2.0 model with domestic release statistical data
and EU emission factors, predicted environmental concentrations (PECs) were derived for ten sites, each
referring to an MDA-using company. Hazard quotient (HQ) was calculated by ratio of the PECs and PNECs
to characterize the ecological risk posed by MDA. To validate the results of modeling-based assessment,
concentration of MDA was measured using in-site freshwater samples (two to three samples per site).
Results: PNECs for water, sediment, and soil were 0.000525 mg/L, 4.36 mg/kg dw, and 0.1 mg/kg dw,
respectively. HQ for surface water and sediment at several company sites exceeded 1 due to modeling data
showing markedly high PEC in each environmental compartment. However, in the results of validation using
in-site surface water samples, MDA was not detected.
Conclusions: Through an ecological risk assessment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K-REACH act, the
risk level of MDA emitted into the environmental compartments in South Korea was found to be low.
영문 초록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제49권 제6호 목차
- [편집인의 글] 누적위해성평가 및 혼합물 할당계수 적용을 위한 연구 필요성
- 교사 내 플랜트 모델 유형별 적용에 따른 공기질 변화
- 모의 실험주택 모니터링 결과를 활용한 실내공기 및 바닥먼지 중 Di(2-ethyl-hexyl) phthalate (DEHP)의 이론적 총량 비율 산출
- 환경배출범주/특수환경배출범주 기반 ECETOC TRA 및 주요/산업/용도 분류체계 이용의 K-CHESAR에 의한 환경예측농도 비교 연구
- HPLC를 이용한 국내 유통 막걸리 내 인공감미료 함량 조사
- 교통 소음과 정신건강 지표 간의 상관성: 생태학적 연구
- 부산 내 미세먼지 고농도 지역 탐색 및 체내 휘발성유기화합물 바이오모니터링 조사
- 인구구조 변동 추세를 반영한 미세먼지 노출에 의한 조기 사망자 추정
- 4,4’-Methylenedianiline의 환경매체별 위해성평가
- 세탁업 종사자의 유기용제 노출과 두통 및 눈의 피로 증상 간의 연관성: 제6차 근로환경조사 자료 분석
- 분무형 생활화학제품의 분사형태 분류제안과 부유비율 평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환경공학분야 BEST
- 미세플라스틱의 개념과 해양에서의 발생, 이동, 생물영향 및 관리대책
- 한국 대학생의 통학방법과 학업 스트레스 사이의 연관성 -지속가능한 교통과 학업 환경-
- COVID-19로 인한 비대면 교육환경에서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간호전문직관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공학 > 환경공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