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립공원 육상생태계 생태·환경적 차이에 따른 탄소저장량 특성 연구

이용수 20

영문명
A Study of Characteristics of Carbon Storage and Emissions According to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differences in the Ecosystem of Korea National Park
발행기관
국립공원연구원
저자명
이상진 정해중 명현호 김진원 박홍철
간행물 정보
『국립공원연구지』제14권 제2호, 1~13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생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1.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2개 전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222개소의 고정조사구를 구축하여 탄소저장량을 평가하였으며, 해당 조사지역의 식물생태특성을 분석하여 어떠한 관계성이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각 조사구별 조사정보를 바탕으로 식물군집구조 및 종다양성지수 등을 분석하여 관계성을 살펴보았다. 우선 전체 조사구에 대한 식물군락분류를 실시한 결과 총 4개의 군락으로 유형화되었으며, Ⅰ군락은 주목-구상나무군락으로 아고산대 침엽수군락으로 특징지어지며, Ⅱ군락은 고로쇠나무군락으로 계곡부 식생군락으로 특징지을 수 있었다. Ⅲ군락은 참나무류-소나무군락으로 일반적인 저지대 산림식생으로 특징지을 수 있으며, Ⅳ군락은 스트로브잣나무군락으로 인공림으로 특정할 수 있었다. 유형화된 4개의 군락 중 Ⅰ, Ⅱ, Ⅲ그룹이 해발고도에 따라 구분되었으며, 낙엽층 탄소저장양이 많아짐에 따라 Ⅰ, Ⅱ, Ⅲ그룹에 해당하는 조사구의 배열이 제2축을 따라 선형으로 배치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즉, Ⅰ, Ⅱ, Ⅲ그룹이 낙엽층 탄소저장량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토양층 탄소저장량 역시 동일한 경향성을 나타낸 반면, 수목 탄소저장량은 그룹별 경향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탄소저장량과 종다양도 관계성을 살펴본 결과, 토양권 탄소저장량과 약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반면, 식생권 탄소저장량과는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단, 이러한 결과는 흉고직경 6cm 이상의 교목층과 아교목층 수목에 대한 종조사 결과만 반영한 결과로서, 관목층 및 초본층 식물상 조사자료를 추가 반영하여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assess carbon storage by establishing 222 fixed survey plots in 22 national parks and analyzing the plant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areas to determine any relationships. To achieve this, we analyzed plant community structure and species diversity indices based on survey information for each plot. Initially, the plant communities for the entire survey plots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Group I was characterized as the Taxus cuspidata-Abies koreana community, Group II as the Acer pictum community, Group III as the Quercus-Pinus densiflora community, and Group IV as the Pinus strobus community. Among these four types, Groups I, II, and III were distinguished by elevation, and we observed a linear arrangement along the second axis as the carbon storage in the deciduous layer increased, indicating that Groups I, II, and III could be differentiated based on carbon storage in the deciduous layer. Soil carbon storage showed a similar trend, while woody carbon storage did not exhibit a clear group-based trend. Furthermore, when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arbon storage and species diversity, we found a weak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oil carbon storage and species diversity, but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vegetation carbon storage. However, it's important to note that these results only reflect the finding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for trees with a diameter at breast height of 6 cm or larger and sub-canopy layer trees. Additional data collection for shrub and ground cover plant species is necessary to further develop these findings.

목차

서론
대상지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사사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상진,정해중,명현호,김진원,박홍철. (2023).국립공원 육상생태계 생태·환경적 차이에 따른 탄소저장량 특성 연구. 국립공원연구지, 14 (2), 1-13

MLA

이상진,정해중,명현호,김진원,박홍철. "국립공원 육상생태계 생태·환경적 차이에 따른 탄소저장량 특성 연구." 국립공원연구지, 14.2(2023): 1-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