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원격탐사와 GIS를 활용한 진도군 잘피 서식지의 지형학적 분포 특성 연구
이용수 39
- 영문명
- Geomorphologic Characteristics of Seagrass Habitat Distribution in Jin-do Using Remote Sensing Data and GIS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 저자명
- 여정윤 정주봉
- 간행물 정보
- 『수산과학연구소 논문집』제32권 제1호, 15~23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수산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June 2020, remote sensing survey using drone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Seagrass habitats distributed in Jindo, Jeollanam-do. The Jindo sea area was divided into a land area and a island area according to its geographical location, and the Seagrass distribution area of 1.19744 km2 and 1.35002 km2 was identified, respectively. In order to understand the topographic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Seagrass habitat, the bathymetric data and slope were analyzed using grid depth data, and the slope was mostly gentle, with a depth of about - 0.5 to - 7.6 m in the land area and - 0.5 to - 13.3 m in the island area. In addition, after analyzing 108 land aqua farms, rivers and lakes, and surface sediment types located in Jindo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agrass habitat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most of the Seagrass habitat was connected to major land water systems. Meanwhile, there were no or few land aqua farms in all areas of Jindo except Gogun-myeon, and the area of Seagrass habitat was 2.54312 km2, which is 99.83% of the total distribution area of Seagrass habitat in Jindo. These research results will be useful data for selecting Seagrass transplant sites for future coastal development projects.
목차
서 론
재료 및 방법
결 과
결론 및 고찰
요 약
사 사
참고 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수산학분야 BEST
- 흑산도 연안에서 통발에 어획된 어류 종조성 및 연변동
- 흑산도 연안에서 기선저인망에 어획되는 어류의 종조성 및 양적변동
- 국내 연안 서식 어류 위내용물의 DNA-metabarcoding 분석
농수해양 > 수산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