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nfluence of Depressive Symptoms and Cognitive Impairment on Suicidal Intention in Vulnerable and Secure Elderly Individuals
- 발행기관
- 대한사회정신의학회
- 저자명
- 서경훈 최경화 황재연 임경미 전영주 김형준 한창환 류성곤
- 간행물 정보
- 『사회정신의학』제20권 제2호, 37~47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1.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 인구 집단에서 취약성에 따라 우울 증상과 인지 장애가 자살 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함이다.
방 법 :
총 347명의 65세 이상 지역사회 거주 노인들을 대상으로 모집하여 그들의 사회인구학적 정보, 가족관계, 건강 상태, CAGE 점수, 스트레스 정도, 단축형 노인우울척도 점수를 수집하였다. 인지 장애와 자살 사고는 각각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판별검사, 자살생각 척도를 이용하여 평가되었다.
결 과 :
취약 계층에서 자살사고의 유병률은 18.5%, 안전 계층에서는 8.2%였다. 취약계층에서의 우울 증상은 자살사고와 관련이 있었다(Odds ratio : 6.1, 95% confidence interval : 1.93 to 19.33).
결 론 :
본 연구에서, 낮은 사회경제적 상태에 있는 취약 계층의 노인이 안전 계층의 노인에 비해 자살 사고의 위험이 높았다. 이 결과는 미래의 정신 보건 정책이 낮은 사회경제적 상태에 있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들의 중요성을 고려하여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depressive symptoms and cognitive impairment on suicidal ideation in an elderly population, according to vulnerability.
Methods :
A total of the 347 community-dwelling elderly individuals aged 65 years or older were recruited and information on their sociodemographics, family relationships, health status, CAGE (Cut down, Annoyed, Guilty, Eye-opener) scores, stress levels, and scores on the Korean version of the Short Geriatric Depression Scale was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Cognitive impairment and suicidal ideation were evaluated by using the Mini Mental Status Exam-Korean version (MMSE-K) and the Scale for Suicide Ideation (SSI), respectively.
Results :
The prevalence of suicidal ideation in the vulnerable group was 18.5% and in the secure group was 8.2%. The presence of depressive symptoms in the vulnerable group was associated with suicidal ideation (Odds ratio : 6.1, 95% confidence interval : 1.93 to 19.33).
Conclusion :
In this study, the risk of suicidal ideation in the vulnerable group consisting of low-socioeconomic status elderly individuals was higher than that in the safety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future mental healthcare policies should consider the importance of community-dwelling elderly individuals with low-socioeconomic status.
목차
서 론
방 법
결 과
고 찰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BEST
-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 (WHOQOL-BREF)의 개발
- 청소년 도박 실태 및 치료방법 고찰
-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과 경계선 지능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관한 사례연구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NEW
-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Meaning in Life Scale for Cancer Patients
- Diminished Compensatory Energy Production Following Hypoxic Stress in the Prefrontal and Anterior Cingulate Cortex Among Individuals With Schizophrenia
- Prenatal Mental Health and Its Stress-Process Mechanisms During a Pandemic Lockdown: A Moderated Parallel Mediation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