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질화규소 세라믹스 소재 리뷰
이용수 24
- 영문명
- Review on the thermal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s of silicon nitride ceramics
- 발행기관
- 한국세라믹학회
- 저자명
- 김하늘 박영조 고재웅 이재욱 마호진
- 간행물 정보
- 『세라미스트』제26권 제2호, 212~227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공학 > 화학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s the heat generation problem is predicted to intensify due to the trend of integration and high density of the power semiconductor power module responsible for the electric drive of the electric vehicle, which has recently been in full swing, high-reliability materials and It is essential to secure large-area heat dissipation substrate manufacturing process technology, and technical obstacles to maintain reliability even in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severe cold/excessive heat are becoming issues.
In the case of silicon nitride ceramic material, which is in the spotlight as a heat dissipation substrate material, a balance that meets the user’s needs is required. In order to realize excellent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silicon nitride substrate, increase the thickness of the metal junction, and improve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silicon nitride material. Therefore, the task of technological progress beyond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heat conduction-intensity still remains.
In this paper, various technical considerations for increasing the thermal conductivity of silicon nitride ceramics are described, and the direction of technological progress is described along with detailed examples. In order to improve thermal conductivity, it is necessary to minimize the inflow of impurities into the raw material powder, appropriately select sintering additives required for liquid phase sintering, and optimize the microstructure through minimization of the amorphous glass phase and control of grain growth by the gas pressure sintering process.
목차
1. 서론 (Introduction)
2. 본론 : 질화규소 세라믹의 열전도 특성 및 기술 동향
3. 결론
Acknowledgement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전고체전지용 음극 소재의 연구 동향
- BaTiO₃ 기반의 적층 세라믹 캐피시터 (Multi-Layer Ceramic Capacitors)의 절연저항 열화 메커니즘과 신뢰성 분석 동향
- 고온 압전 기기 응용을 위한 textured (Bi,Sm)ScO₃-PbTiO₃ 세라믹의 온도 안정 특성
- 플래시 소결 리뷰: 메커니즘, 미세구조, 기계적 특성
- 리튬 이온전지 삼원계 층상구조 양극 활물질 연구 개발 동향
- 차세대 MLCC를 위한 Post BaTiO₃ (BT) 세라믹에서 산소 공공의 영향에 관한 연구 동향
- 차세대 리튬금속 음극의 기술적 이슈와 연구 전략
- 질화규소 세라믹스 소재 리뷰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화학공학분야 BEST
- 생태학적 이론에 근거한 성인 중도장애인의 장애수용 영향요인
- 그린워싱 인식에 따른 친환경 화장품 구매성향과 브랜드 충성도에 관한 연구: 브랜드 진정성의 매개효과
- 임상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이 임상의사결정능력에 미치는 영향: 비판적 사고성향과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의 이중매개효과
공학 > 화학공학분야 NEW
- 산화물계 전고체전지 向 고체전해질-양극/리튬음극 소재 적합성 평가 디자인
- 전고체전지 고체전해질 PEO의 리튬이온전도에 미치는 CeO₂의 첨가 효과
- 수계 아연 이온 전지용 바나듐 산화물 기반 양극재의 합성 방법에 대한 최신 연구 동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