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西陂柳僖『尙書』論著考述

이용수 0

영문명
A Review of Seopa(西陂) Yuhui(柳僖)'s Works on “Shangshu尙書”
발행기관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저자명
陳亦伶
간행물 정보
『태동고전연구』제50집, 141~16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조선 후기의 실학자 유희(1773-1837)의 3부 『서경』연구 저술을 중심으로 그 문헌의 내용을 정리하고 나아가 『서경』론의 특징을 탐구하고자 한다. 조선 후기의 유명한 고증학자 신작(1760-1828)은 정약용에게 보낸 편지에서 유희의 『고문상서』에 대한 고증은 정밀하다고 언급한 적이 있었으며, 「태교신기서」에서도 유희가 『춘추』에 대한 조예가 매우 높다고 칭찬하였다. 그러나 유희의 경학 논저는 『한국경학자료집성』⋅『한국문집총간』⋅『한국역대문집총서』등 몇 편의 유명한 한국 총서에 수록되지 못한 데다가, 단행본으로 출판되지 않았기 때문에 유통이 쉽지 않았고, 학계의 주목을 많이 받지 못하였다. 이 글은 「유희연보」와 유희의 개인언어(個人按語) 등 내용을 토대로 그의 서경 저술이 이루어진 시간을 『상서금고문송의(尙書今古文訟疑)』(1824년)→『서채전보설(書蔡傳補說)』(1824-1825년 사이)→『서고(書詁)』(1825년 8월 후)로 추측한다. 또한 종합적으로 볼 때 그의 『서경』론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특징과 의의를 갖고 있다. 1. 고증학으로 분석한다. 금고문논쟁에서 정약용을 염약거로 비유한다면 유희는 모기령에 비유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조선시대에 『고문상서』를 옹호하는 사람들이 대부분 16자 심법[人心道心說]으로 고증학[攷校之學]을 반박하고 문자로부터 경서를 고증하는 것은 “가지와 잎을 믿으며 근본을 의심한다.[信枝葉而疑本根]”는 것이며 시간을 허비하는 것이고, 배움에 있어서는 의리[義理之道]를 추구해야 한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유희가 경을 다루는 방식은 전인(前人)과 달리 고증방법을 채용하여 역대의 사적(史籍) 및 선인의 설을 정돈하고 조목조목 분석하여 일일이 밝히는 것이었다. 이와 동시에 유희는 흔히 모기령의 설을 인용하여 자신의 보조적 증거로 삼았는데 이는 지난날 조선학자들이 폄하하는 서하지설(西河之說)과는 크게 다르다. 2. 언어학으로 경을 해석한다. 선천적인 요소로 인해 조선 유학자들은 『고문상서』의 진위(眞僞)를 논변할 때, 명나라와 청나라의 학자들처럼 지리(地理) 고증 방식과 고금언어(古今語音) 분석 방식으로 『고문상서』의 진위를 논변하는 경우가 거의 없었다. 흔히 “성인의 말은 침범을 용납하지 않는다[(聖人之言不容侵犯]”, “주자가 그것이 위서라고 말하지 않았으니 바로 올바른 경전이 틀림없다.[朱子未曾言其爲僞書, 便是眞經無誤.]”, “의리에 틀림없으니, 위서가 아니다.[義理無誤便非僞書]” 등 관점에서 『고문상서』를 옹호하였다. 하지만 유희는 고증학의 방법으로 자신의 의견을 밝히는 것 외에 그의 국음학 장점을 활용하여 경을 해석한 것을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생(伏生)이 말로 경문을 전수하는 문제에 대해서 유희는 글자의 모양이 비슷하여 오류가 생겼다고 지적하는 것 외, 소리로 인해 오류가 발생한 예를 들기도 하였다. 3. 『서집전』을 정정하고 보완한다. 『서집전』은 비록 원나라 이후로부터 수백 년간 존속해 왔지만 송나라 말기에 편찬되었을 때부터 두 가지 긍정적인 견해와 부정적인 견해가 있었다. 유희의 『서채전보설』과 『서고』에 보면 조선 유학자들은 주자의 유지(遺志)를 대표하는 『서집전』의 내용을 모두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의리가 통하지 않는 곳에 있으면 그에 대한 수정도 할 수 있었다. 4. 집일(輯佚)을 이루는 문헌정리. 유희의 『서경』 저술에 적지 않은 고인의 학설을 인용하였다. 예를 들어 송나라 마천난(馬遷鸞)과 명나라의 이반(李槃)의 『서경』에 대한 해설은 보기 드물다. 만약에 『문통』을 전반적으로 정리할 수 있으면, 집일을 이루는 데 공을 이룰 수 있고 또한 마이크로필름에서 분별할 수 없는 부분과 오류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to sort out the content and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research works on “Shangshu” of Yuhui (柳僖, 1773-1837), a Confusion schol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ShinChak(申綽), a famous scholar of textual research in the late Joseon Dynasty, mentioned in a letter to ChongYak-Yong(丁若鏞) that Yuhui’s textual research on “Guwen Shangshu古文尙書” was meticulous and detailed. He also praised Yuhui's very high attainment in interpreting “Chunqiu 春秋” in “Taegyosingi胎敎新記序”. However, as Yuhui’s works on Confucian classics were not included in several famous Korean series such as “The Complete Collection of the Korean Study of Confucian Classics韓國經學資料集成”, “Korean Literary Collections in Classical Chinese韓國文集叢刊”, “Korean Anthology in History韓國歷代文集叢書”, and they were not published in separate volumes, they have received little attention from the academic circles. Based on “Yuhui Chronicle”, Yuhui's personal notes and many other clues, this paper first speculates that Yuhui's publications should have the following sequence: firstly “SangSeoKoGeummoonSongEui尙書今古文訟疑”(1824), then “SeoChaejeonboseol書蔡傳補說”(presumably written between 1824-1825), to be followed by “SeoGo書詁”(written after August 1825). In addition, his “Shangshu” theory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1. Analysis based on textual research: In the debate on ancient prose, if ChongYak-Yong is compared to Yan Ruoqiu(閻若璩), Yuhui can be compared to Mao Qiling(毛奇齡). The reason is that those who supported the ancient text “Shangshu” in the Joseon Dynasty mostly refuted the study of school examination because of the sixteen-character mentality. They think analysing the classics through textual research is like “trusting the leaves and query the root” and is a waste of effort. However, Yuhui’s method of analysing classics was different from that of the predecessors. He adopted textual research, going through systematically the historical records of the past dynasties and the theories of the predecessors one by one. At the same time, Yuhui often cited Mao Qiling's theory as his own supporting evidence, which is very different from the previous Korean scholars who belittled Xihe. 2. Interpreting the classics through linguistics: Due to innate factors, Korean Confucianists seldom used the convenience of geographical location to discuss the authenticity of the ancient “Shangshu” like the Ming and Qing scholars who adopted the methods of geographical research and ancient and modern phonetics. Instead, they defended the ancient text “Shangshu”. based on viewpoints such as “the words of the sages are inviolable”, “as Zhu Zi never said this is a fake book, it must be authentic”, “the meaning is correct, so it is not a fake book”. In addition to Yuhui's method of textual research to affirm his own views, it can also be seen that Yuhui used his expertise in Guoyinxue to explain the classics. For example, on the issue of Fu Sheng's dictation of the classics, Yuhui not only pointed out that similar characters might have caused errors, but also cited examples of errors caused by sounds. 3. Revising and supplementing “Shu Ji Zhuan書集傳”: Although “Shu Ji Zhuan” has been standing for hundreds of years since the Yuan Dynasty, there have been views of support and opposition since its compilation at the end of the Song Dynasty. Yuhui's “SeoChaejeonboseol” and “SeoGo” show that Korean Confucianists did not completely stick to the “Shu Ji Zhuan” which represents Zhu Xi's last will and would also identify the mistakes and suggest amendments to the text when the meaning was not clear. 4. Compilation of lost merits: Many ancient theories are quoted in the three works, such as those of Ma Qianluan馬遷鸞 from the Song Dynasty and Li Pan李槃 from the Ming Dynasty, which is very rare. If “MunTong文通” can be organized and understood,

목차

1. 前言
2. 柳僖『尙書』硏究的文獻考察
3. 『尙書今古文訟疑』
4. 『書蔡傳補說』
5. 『書詁』
6. 結語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陳亦伶. (2023).西陂柳僖『尙書』論著考述. 태동고전연구, (), 141-160

MLA

陳亦伶. "西陂柳僖『尙書』論著考述." 태동고전연구, (2023): 141-1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