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요양시설의 기능회복훈련 서비스 제공에 관한 연구
이용수 63
- 영문명
- A Study on the Provision of Functional Recovery Training Service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 발행기관
- 한국간호연구학회
- 저자명
- 최귀윤 이혜경 정덕유 배하석 양서연 최종녀
- 간행물 정보
- 『한국간호연구학회지』제7권 제2호, 101~11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unctions of daily living, physical and cognitive functions, and functional recovery training services of elderly resident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Method : We sent surveys to representatives of the facilities and analyzed the data for 73 care facilities that we received via email. Each facility has selected one resident for each of the eight groups. The functions of daily living, cognitive function and physical function, and functional recovery training service providers of 453 selected residents were recorded on a checklist based on the past week.
Results : The degree of assistance for activities such as bathing and shampoo increased proportionally from Group 1 to 8 in the eight categorized groups. The proportion of cognitive and physical impairments also increased. The analysis of the average time and frequency of functional recovery training conducted by residents in Group 1 to 8 over a one-week period revealed that the average time of physical activity training was 9.56 minutes with 3.34 sessions, movement and walking training had an average of 6 minutes with 4 sessions, and activities of daily life training had an average of 12.04 minutes with 4 sessions.
Conclusion : The average time and frequency of functional recovery training conducted for the residents can be utilized for the development of standardized guidelines for functional recovery training. There is a need for activity-centered functional recovery training in conjunction with the daily activities of the residen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간호대학생의 윤리적 성향, 전문직 자아개념, 심폐소생술 태도가 생명의료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
- 포스트 코로나(Post-Corona) 시대에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요인
- 요양시설의 기능회복훈련 서비스 제공에 관한 연구
- 간호대학생의 근거기반 통증간호, 욕창관리와 낙상예방간호 및 배액관리 프로토콜 개발
- 신규 간호사의 현실충격, 직장 내 약자 괴롭힘 및 긍정심리자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모성간호학 실습교육의 운영방안
- 감염병 전담병원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인식이 환자안전관리활동과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비판적사고성향과 환자안전역량의 관계에서 간호전문직관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간호학분야 BEST
- 인공지능을 적용한 국내 간호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청소년의 취침 전 스마트폰 사용 시간과 수면의 질과의 관련성
- 간호대학생의 인공지능에 대한 지식, 인식 및 수용태도가 인공지능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의약학 > 간호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과 간호사 대상 시뮬레이션 기반 환자안전교육에 대한 주제범위 문헌고찰
- 초기 당뇨병 환자의 안저검사 수검 관련 요인
- 전문대학 간호학과 임상실습교육의 현황과 임상간호교수제에 대한 인식 조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