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동의보감』 심장도(心臟圖)의 묘사 특징과 그 기원에 대한 연구

이용수 10

영문명
A Study on the Descriptive Features and Origin of the Heart Diagram in the Donguibogam
발행기관
대한한의학원전학회
저자명
조학준
간행물 정보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36권 1호, 17~32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의약학 > 한의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2.28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동의보감』 심장도에서만 유일하게 칠규(七竅), 삼모(三毛), ‘톱니 같은 네 겹의 선’ 등이 묘사된 배경과 그 의미를 분석하고 그 기원을 규명한다. 방법: 『동의보감』 심장도를 그 이전의 장부도(臟腑圖)와 비교하고, 그 이전의 장부도와 달리『동의보감』 심장도에서만 유일하게 표현된 묘사에 대한 관련 자료를 수집하여 『동의보감』 심장도의 묘사 특징을 분석하였다. 결과: 그 그림에서 묘사된 칠규(七竅)는 초보적인 해부 지식이 반영된 유형의 실체로서 칠성판(七星板)에서 그 묘사 근거를 발견할 수 있고, 삼모(三毛)는 삼태성(三台星)으로 비유한 점으로 보아 실체가 없는 것으로 『심경(心經)·심학도(心學圖)』에서 그 묘사 근거를 찾을 수 있다. ‘톱니 같은 네 겹의 선’은 아직 피지 않은 연꽃봉오리의 여러 겹 꽃잎이나 꽃받침으로 비유하여 심포(心包), 즉 심막 또는 심낭을 표현하거나 궁을 둘러싼 여러 겹의 산성(山城)으로 비유하여 단중(膻中), 즉 흉곽을 표현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이런 묘사 특징은 해부 관찰보다 유심론의 관점이 더 많이 반영된 결과이다. 결론: 허준이 그 이전의 장부도에 비해 심장을 더 구체적으로 묘사하기 위해, 기존 문헌에 나타난 해부 지식의 기초 위에 당시 유행하던 문헌, 그림 등을 참고하여 다양한 묘사를 덧붙음으로써 그 이전의 장부도와 전혀 다른 기원을 가지게 되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background, meaning and origin of the descriptions of the Heart such as 'seven orifices', 'sanmao', 'saw-toothed four layered lines' that are unique to the diagram in the Donguibogam. Methods : First the Heart diagram of the Donguibogam was compared with other Zhangfu diagrams of the past. Materials related to unique features in the descriptions of the Heart in the Donguibogam were collected, against which descriptive features were analyzed. Results : Of the many unique features, the descriptive basis of the 'seven orifices' could be found in the Qixingban[七星板] as a physical entity reflecting basic anatomical knowledge. The 'sanmao', which is compared to the Santaixing[三台星], could be understood as a non-physical entity whose descriptive basis could be found in the Xinxuetu of the Xinching. It could be assumed that the 'saw-toothed four layered lines' are likened to the multi-layered petals or calyx of a lotus flower bud to describe the Pericardium, or to the multiple walls of a mountain fortress surrounding a palace to describe the Danzhong, which is the chest cavity. These features could be understood as results of spiritualism influence. Conclusions : It could be concluded that Heo Jun, in his attempt to describe the Heart in more detail than previous diagrams of the Zangfu, referenced popular texts and images based on anatomical knowledge of previous texts, added varied descriptions resulting in a new diagram with a completely different origin.

목차

Ⅰ. 서 론
Ⅱ. 자료 및 연구 방법
Ⅲ. 본론
Ⅳ.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학준. (2023).『동의보감』 심장도(心臟圖)의 묘사 특징과 그 기원에 대한 연구.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36 (1), 17-32

MLA

조학준. "『동의보감』 심장도(心臟圖)의 묘사 특징과 그 기원에 대한 연구."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36.1(2023): 17-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