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독도 조하대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구조
이용수 17
- 영문명
- Community structure of marine macrofauna in the subtidal zone of Dokdo
- 발행기관
- 한국생태공학회
- 저자명
- 이재호 신명화 노현수 이희갑 홍성재
- 간행물 정보
- 『한국생태공학회지』제9권 제1호, 27~4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공학 > 환경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in June and September 2022 to analyze the macrofauna community of Dokdo. The total number of macrofauna in Dokdo is 120 species (annelida 10, arthropoda 30, chordata 1, cnidaria 3, echinodermata 7, mollusca 60, nemertea 1, porifera 7, sipuncula 1), and the average biomass was 3,624.65 g/㎡ in total (annelida 1.20 g/㎡, arthropoda 381.16 g/㎡, chordata 0.38 g/㎡, cnidaria 0.78 g/㎡, echinodermata 32.74 g/㎡, mollusca 3,182.89 g/㎡, nemertea 0.28 g/㎡, porifera 23.75 g/㎡, sipuncula 1.46 g/㎡), and the everage individuals was 376.67 ind./㎡ (annelida 28.89 ind./㎡, arthropoda 224.56 ind./㎡, chordata 0.11 ind./㎡, cnidaria 1.33 ind./㎡, echinodermata 4.44 ind./㎡, mollusca 103.33 ind./㎡, nemertea 0.22 ind./㎡, porifera 1.78 ind./㎡, sipuncula 12.00 ind./㎡). 60 species, 238.37 g/㎡, 135.33 ind./㎡ from haenyobawi, 83 species, 10,038.61 g/㎡, 776.35 ind./㎡ from ddongyeo, 78 species, 596.96 g/㎡, 218.33 ind./㎡ from hogdomgul were investigated. The number of species, average biomass and average individual showed the highest values in ddongyeo. The dominant species of marine macrofauna based on biomass were Mytilus unguiculatus at 2,778.45 g/㎡, Pseudoctomeris sulcata at 279.19 g/㎡, Turbo cornutus at 132.11 g/㎡, Neopycnodonte cochlear at 199.26 g/㎡ and Ostrea circumpicta at 80.86 g/㎡. In both the survey period, Mytilus unguiculatus were the highest at 2,466.19 g/㎡ and 3,090.70 g/㎡, respectively, and it was judged to be a good environment for mussels to inhabit. Research on marine macrofauna in Dokdo has been conducted irregularly in the past, and continuous research and long-term monitoring are needed to accurately determine the community structure.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결과
4. 고찰
사사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환경공학분야 BEST
- 미세플라스틱의 개념과 해양에서의 발생, 이동, 생물영향 및 관리대책
- 한국 대학생의 통학방법과 학업 스트레스 사이의 연관성 -지속가능한 교통과 학업 환경-
- COVID-19로 인한 비대면 교육환경에서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간호전문직관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공학 > 환경공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