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물질, 구조, 공간으로서 동아시아의 의학적 몸

이용수 19

영문명
A Medical Body of East Asian Medicine in terms of Materials, Structures and Spaces
발행기관
한국의철학회
저자명
이기복(Yi, Kiebok)
간행물 정보
『의철학연구』제34권, 37~94쪽, 전체 5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9,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동아시아는 기(氣), 서양은 해부”라는 동서양 이분법의 틀에 이의를 제기하며 물리적 대상으로서의 인체에 개입하기 위한 동아시아 의학에서의 노력 및 실행을 조명함으로써, 우주론적 개념 및 범주를 전제하지 않는 또 하나의 대등한 의학 실행 스타일을 동아시아 의학의 지형 속에 자리매김하려는 시도다. 물리적 대상으로서 인체에 대한 인식 및 실행 과정을 잘 보여주는 분야로는 해부는 물론 외과, 침구, 구급, 태산, 군진, 검시 등이 있다. 이들 분과 외에서도 인체 내부에 자리를 잡고 있는 구조물에 대해 고민한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 이 글은 이러한 사례를 중심으로 역사 행위자에 의해 경험되고 인식되고 해석되는 의학적 몸을 전체적으로 조망한다. 이를 살핀 결과 물리적 실제 및 사유에 토대를 둔 동아시아인의 활동은 충분히 주목할 만하다. 이는 크게 의학적 실행, 인식론적 태도, 그리고 학술적 탐구 과정에서 잘 드러난다. 첫째, 동아시아 의학에서 흔히 보이는 침구, 구급, 외과 등 치료를 수행하는 여러 과정 및 관련 처치법을 살펴보면 이는 공간이나 구조로서의 인체의 형태 그리고 물질의 변화 및 반응 등에 대한 이해를 전제로 한 의학 활동이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고대의 텍스트를 보건대, 몸은 감각을 통해 파악할 수 있는 과학적 대상물이며, 해부와 관찰 및 계측은 중요한 기술적 도구로서 이를 통해 내부 장기의 생김새, 계량치, 질적 특성 등 인체의 요점을 알 수 있다는 인식론적 태도도 포착된다. 셋째, 해부학적 구조 및 이를 토대로 한 몸의 움직임에 대한 여러 논의에서 인체의 생리적 현상 및 해부학적 구조물을 토대로 생리 기전을 추론하고 이를 임상 과정에서 검증하는 방식으로 몸에 대한 학술적 탐구를 수행했던 의학 활동 역시 관찰된다. 우주론적인 사유와 대비되는 이러한 의학적 실행은 동아시아 의학사에서 주목할 가치가 크다. 이때의 의학적 몸을 ‘공간지형학의 몸’이라고 명명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Challenging the dichotomous cliché “East Asian medicine is all about qi, the Western medicine all about anatomy,” this paper attempts to uncover a style of practice within the historical landscape of East Asian medicine that does not draw on cosmological paraphernalia such as yin-yang, the Five phases and qi, but rather focuses on the materiality of the human body. This style of practice can be seen in medical areas such as surgical treatment, acupuncture, trauma care, first aid, obstetrics, military medicine, forensic medicine and anatomy, as well as in some doctors’ contemplation of anatomical structures of the human body. By examining related cases, this article explores the medical body of materials, structures and spaces as it was understood, experienced, and interpreted by historical East Asian actors. In conclusion, medical activities or cognitive practices of East Asian doctors based on the body materiality are quite noteworthy and should be deserved a consideration in the broader historical context of East Asia. As such, this style of practice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 cosmological thinking. Inasmuch as, the term “topological body” might be employed in referring the medical body.

목차

1. 들어가는 말
2. 구성물: 체액, 독(毒), 물(物)
3. 생김새: 계측, 검시, 해부, 생리
4. 고치기: 정골(整骨), 상과(傷科), 치종(治腫)
5. 움직임: 인체구획, 물질대사, 체액이동
6.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기복(Yi, Kiebok). (2022).물질, 구조, 공간으로서 동아시아의 의학적 몸. 의철학연구, (), 37-94

MLA

이기복(Yi, Kiebok). "물질, 구조, 공간으로서 동아시아의 의학적 몸." 의철학연구, (2022): 37-9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