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COVID-19 전후 소비지출패턴의 변화에 대한 연구

이용수 103

영문명
A Study on Changes in Consumption Patterns before and after COVID-19
발행기관
한국소비문화학회
저자명
이수진(Lee, Soo-jin) 한다혜(Han, Dahye)
간행물 정보
『소비문화연구』제25권 제4호, 67~91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 전후 달라진 소득 및 가계소비지출패턴을 파악하여 COVID-19가 국내 가계에 차별적으로 미쳤던 경제적 타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노동패널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2019년과 2020년의 전반적인 소비지출액 및 비목별 소비지출비중의 변화를 살펴보고, 2019년 대비 2020년의 소비지출증감에 따라 가계를 유형화하여 유형별 특성의 차이를 분석하고, 유형을 결정짓는 영향요인은 무엇인지 살펴봤다. 특히 가계를 유형화하기 위해 2020년 대비 2019년 소비지출증감액을 기준으로 군집분석을, 유형별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ANOVA와 교차분석을, 유형별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다항로지스틱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인 소득 및 지출액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2019년 대비 2020년, 금융소득과 부동산소득이 증가하였으며, 근로소득(1.51%)보다도 이전소득(3.19%)의 증가폭이 더 크게 나타났다. 한편, 소득과 달리 지출액은 전반적으로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둘째, 비목별 소비지출비중의 변화를 보면, 2019년 대비 2020년 공교육, 경조사비, 헌금 및 기부금, 교양오락비 등 대면이 필요한 영역의 소비지출은 줄어들고, 생필품구입비, 대중교통비, 식비 등 집안의 영역은 증가했다. 즉, COVID-19로 인해 전체적인 소비의 양이 줄었다기 보다는, 소비비중의 변화를 통해 가계소비패턴이 달라졌음을 확인했다. 셋째, 2019년 대비 2020년 소비지출 증감액에 따른 군집분석 결과 ‘지출증가형’, ‘지출유지형’, ‘지출감소형’ 3개의 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각 유형은 가구원 수, 가구주 학력 등 사회적 특성 뿐만 아니라 소득 및 지출액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지출감소형은 다른 유형에 비해 1인 및 2인 가구 비중이 높았고, 저학력 및 저소득의 특성을 보였다. 이들은 COVID-19 전후 특히 근로소득이 큰 폭으로 감소했으나 이전소득이 상승하여 정부의 도움을 받아 소득 감소분에 대한 보전을 받은 유형이었다. 마지막으로, COVID-19 전후 소비지출증감액에 따른 유형 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각 유형별로 다소 다르게 나타났다. ‘지출증가형’과 ‘지출유지형’을 차별화하는 요인들은 ‘가구원수’, ‘가구주 학력’이었으며, ‘지출유지형’과 ‘지출감소형’을 차별화하는 요인들로는 ‘정부보조금’, ‘근로소득’, ‘가구원수’, ‘가구주 학력’, ‘저축여부’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COVID-19 전과 후를 비교하여 그 증감액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고 이를 통해 COVID-19로 인해 특히 경제적 타격을 많이 받은 가계가 누구인지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ncome and household consumption expenditure patterns changed before and after COVID-19 to find out the economic impact of COVID-19 on domestic households differently. To this end, the changes in the overall consumption expenditure and the proportion of consumption expenditure by category in 2019-2020 were examined using data from the Korea Labor Panel Survey, and the difference in characteristics by type was analyzed by categorizing households according to the increase and decrease in consumption expenditure in 2020 compared to 2019. In addition, we looked at the influencing factors that determine the type.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inancial income and real estate income increased in 2020 compared to 2019. In particular, the increase in transfer income (3.19%) was greater than the earned income (1.51%). On the other hand, unlike income, the overall expenditure remained similar to the previous year. Second, looking at the change in the proportion of consumption expenditure by category, consumption expenditure in areas requiring face-to-face such as public education, congratulatory expenses, donations, and cultural entertainment expenses decreased. Meanwhile, household areas such as daily necessities purchase costs, public transportation costs, and food expenses have increased.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the pattern of household consumption has changed through a change in the proportion of consumption, rather than a decrease in the overall amount of consumption due to COVID-19. Third, as a result of categorization, it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 ‘spending increase type’, ‘spending retention type’, and ‘spending reduction type’. Each typ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come and expenditure as well as soci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and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the head of the household. In particular, the spending reduction type had a higher proportion of single and two-person households than other types, and showed characteristics of low education and low income. Before and after COVID-19, their earned income, in particular, decreased significantly, but their transfer income rose significantly and received government help. Finally, the factors affecting the classification of types were somewhat different for each type. The factors that differentiate between “spending increase type” and “spending retention type” were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and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household owners, and the factors that differentiated “spending retention type” and “spending reduction type” were identified as government subsidies, earned income, household membership, and savings. This study will be meaningful in that it compared before and after COVID-19 and focused on the increase and decrease, and through this, it examined who households were particularly economically hit by COVID-19.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수진(Lee, Soo-jin),한다혜(Han, Dahye). (2022).COVID-19 전후 소비지출패턴의 변화에 대한 연구. 소비문화연구, 25 (4), 67-91

MLA

이수진(Lee, Soo-jin),한다혜(Han, Dahye). "COVID-19 전후 소비지출패턴의 변화에 대한 연구." 소비문화연구, 25.4(2022): 67-9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