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달성광산 산성광산배수 침전물의 시간에 따른 광물상 특성 변화 및 이에 따른 미량원소의 거동 변화
이용수 13
- 영문명
- Changes of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of Precipitates in Acid Mine Drainage of the Dalsung Mine and Related Changes of Trace Elements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윤영진 김영규 이성주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55권 5호, 531~540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산성광산배수 내에서 침전하는 다양한 철광물들은 침전 과정뿐만 아니라 침전 후 다른 광물로 상전이를 거치면서 배수의 미량원소의 농도 변화 및 이동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슈베르트마나이트가 주로 침전되는 것으로 알려진 달성광산의 산성광산배수 침전조에서 채취한 고체 침전물에 대하여 pH 및 시간에 따른 광물 특성 변화와 이와 연관된 배수내의 원소 농도 변화를 알아보았다. 그러나 채취된 시료의 주 구성 광물은 침철석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이는 이미 슈베르트마나이트가 어느 정도 침철석으로 상전이가 되어 있는 상태임을 지시한다. 실험 결과 배수의 pH가 높을수록 피크의 반치폭이 좁아지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는 비정질에 가까운 슈베르트마나이트의 침철석으로의 전환 또는 침철석의 결정도 증가로 해석할 수 있으며 pH가 높을수록 이러한 변화가 큼을 보여준다. Fe의 농도도 pH에 큰 영향을 받으며 pH가 증가할수록 배수 내의 Fe의 농도는 감소하였다. 시간이 증가할수록 Fe의 농도는 증가하다가 추후 감소하였는데 이는 일부 슈베르트마나이트가 용해된 후 다시 침철석으로 침전하여 생긴 결과로 해석된다. 이런 결과로 황(S)의 경우 초기에 빠르게 증가하다 시간이 지나면서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 양상을 보여준다. S의 농도는 또한 슈베르트마나이트의 안정성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슈베르트마나이트가 안정한 낮은 pH에서는 낮은 농도를 그리고 침철석이 안정한 높은 pH에서는 높은 농도를 보여준다. 배수 내의 미량 원소들도 pH와 밀접한 연관성을 보여주며 일반적으로 pH가 낮을수록 높은 농도를 보이는데 배수 내 양이온으로 존재하는 미량원소의 경우 낮은 pH에서의 높은 용해도와 높은 pH에서의 침전과 표면 전하의 변화 등에 의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와 달리 비소(As)의 경우 배수 내 음이온으로 존재함으로 낮은 pH에서 높은 농도를 보여주지만 모든 pH 범위에서 시간이 지나면서 농도가 증가함을 보이는데 이는 광물 표면의 전하보다 슈베르트마나이트 등으로 As와 공침할 수 있는 Fe의 배수 내 농도와 관련이 있어보이며 시간에 따른 As의 증가도 슈베르트마나이트의 감소와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Various iron minerals that precipitate in acid mine drainage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concentration change and mobility of trace elements in the drainage during phase transition to other minerals as well as the precipitation proces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 of mineral properties and the behaviors of trace elements influenced by pH and time for the precipitates collected from the acid mine drainage treatment system of the Dalsung mine, where schwertmannite is mainly precipitated. However, the main mineral precipitated in the drainage was goethite, suggesting schwetmannite has already undergone a phase transition to goethite to some extent, and it was observed that at higher pH, the peak width at half maximum of XRD peak was narrower. This can be interpreted as the transformation of small amount of amorphous schwetmannite to goethite or an increase in the crystallinity of goethite, and it showed that the higher the pH, the greater this change was. The concentration of Fe was also greatly affected by the pH values, and as the pH increased, the concentration of Fe in the drainage decreased. With increasing time, the Fe concentration increased and then decreased, which can be interpreted to indicate the dissolution of schwertmannite and precipitation of goethite. This mineral change probably resulted in the rapid increase of the concentration of S at initial stage, but its concentration was stabilized later. The concentration of S is also related to the stability of schwetmannite, showing a high concentration at a low pH at which schwertmannite is stable and a low concentration at a high pH at which goethite is stable. The trace elements present as cations in the drainage also showed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pH, generally the lower the pH, the higher the concentration, due to the solubility changes by the pH, and the precipitation and the changes in mineral surface charge at high pH.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s, existing as an anion, although it showed a high concentration at low pH, its concentration increased with time at all pH values, which is probably related to the concentration of Fe which can be coprecipitated in the drainage, and the increase of As concentration with time is also considered to be related to the decrease in schwertmannite rather than the mineral surface charge.
목차
1. 서론
2. 연구 방법
3. 결과 및 토의
4. 결론
사사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매장 문화재 공간 분포 결정을 위한 지하투과레이더 영상 분석 자동화 기법 탐색
- 달성광산 산성광산배수 침전물의 시간에 따른 광물상 특성 변화 및 이에 따른 미량원소의 거동 변화
- 영주댐 유역 토일천 유입 유기물 및 하천 퇴적물에 대한 질소와 탄소 동위원소 특성 연구
- 화강암 파쇄시 풍화정도가 골재 입도분포 및 미석분 발생에 미치는 영향
-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내부에 사용한 석회 및 점토의 재료학적 동질성과 조달체계 검토
- 중앙해령 및 섭입대 화산호 지역 해저열수광상의 광물·지구화학적 특성 고찰
- 천연기념물 포항 달전리 주상절리의 낙석 발생원인
- 침식저항도 차이에 따른 지형발달 및 지형인자에 대한 연구
- 탈기법과 초음파 처리법을 연계한 LPG 지하공동저장소 주변 오염지하수 내 TOC 제거
- 충주 앙성지역 탄산천의 수위/수질 변동과 주변 지질 특성
- 울진 보암광상 일대 중력 이상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더보기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축척변화로 인한 임상 비율의 불확실성 평가: 소양강댐 및 충주댐 유역을 중심으로
- 피음과 단수처리에 따른 개가시나무(Quercus gilva)와 종가시나무(Q. glauca)의 생리적 반응
- 내륙습지의 임목 지역별 및 측정 지점별 토양 표층과 대기 사이의 이산화탄소 플럭스 비교 분석 : 의령, 창녕, 합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