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녹내장성 시야결손의 점별 모델링

이용수 7

영문명
Pointwise Modeling for Predicting Visual Field Progression in Korean Glaucoma Patients
발행기관
대한안과학회
저자명
김재현 문상우 김충락 이지웅
간행물 정보
『대한안과학회지』volume63,number11, 918~927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의약학 > 기타의약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1.15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한국인 녹내장 환자의 시야검사 각 지점의 변화를 분석하여 회귀 모델의 적합도와 예측 성능을 비교하였다. 대상과 방법: 6년 이상 시행한 시야검사가 10회 이상인 개방각녹내장과 녹내장의증 환자에서 시야검사 각 지점에서 시간에 따른 역치값 변화에 선형, 지수형, 다항형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평균제곱근오차(root mean squared error, RMSE)를 이용하여, 세 모델의적합도를 비교하였고, 첫 5년의 시야검사로 모델 추정 후, 1, 2, 3, 5년 후의 역치값을 예측하여 예측 성능을 비교하였다. 중심부와주변부 영역 및 초기 역치값에 따라 예측 성능을 비교하였다. 결과: 280명 439안의 평균 경과 관찰 기간과 시야검사 개수는 9.64년과 13.02개였다. 적합도 RMSE는 다항형이 가장 낮았다(p<0.001). 1년 예측에서 선형이, 3, 5년 예측에서 지수형의 RMSE가 가장 낮았다(모든 p<0.001). 1, 2년 예측 시, 초기 역치값 0-7 decibel (dB)에서 지수형이, 20-27 dB에서 선형이 RMSE가 가장 낮았다(모든 p<0.001). 선형과 지수형 모델을 비교하였을 때, 시야 주변부 1년 예측에서 선형이, 3, 5년 예측에서 지수형이 RMSE가 더 낮았다(모든 p<0.001). 시야 중심부 2년 예측부터 지수형의 RMSE가 선형보다더 낮았다(모든 p≤0.015). 결론: 한국인 녹내장성 시야결손의 점별 분석에서 단기 예측 시에 선형이, 장기 예측 시에 지수형이 성능이 우수하였다. 중심부 시야와 초기 역치값이 낮은 경우에는 지수형의 예측 성능이 선형보다 우수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o evaluate the utility of pointwise modeling for predicting visual field (VF) progression in Korean glaucoma patients. Methods: Open-angle glaucoma or glaucoma suspect patients with VFs ≥ 10 times, who were followed-up for ≥ 6 years, were included. Linear, exponential, and polynomial regression of threshold values at each test point against time were performed. Model fit was evaluated based on root mean squared error (RMSE) for the entire longitudinal VF series. To evaluate prediction ability, VFs from the first 5 years were used to estimate model parameters, followed by calculation of threshold values for 1, 2, 3, 5 years to obtain RMSE. Prediction ability was compared regarding initial threshold value and also central and peripheral VF area. Results: Four hundred thirty-nine eyes (280 patients) were included. The mean follow-up duration and number of VF tests were 9.64 years and 13.02, respectively. When fitting the entire VF series, polynomial model had the lowest RMSE (p < 0.001). For 1-year predictions, linear model had the lowest RMSE, while exponential model had the lowest RMSE for 3- and 5-year predictions (p < 0.001). For 1- and 2-year predictions, exponential and linear models had the lowest RMSEs, with initial sensitivities of 0-7 and 20-27 decibel (dB), respectively (p < 0.001). Compared to exponential model, linear model had lower RMSE for 1-year, but higher RMSE for 3- and 5-year at peripheral VF area (p < 0.001). For central VF area, exponential model had lower RMSEs for 2-, 3-, and 5-year predictions compared to linear model (p ≤ 0.015). Conclusions: The linear model outperformed the exponential model for short-term predictions, while the exponential model was better for long-term predictions. The prediction performance of the exponential model was superior to that of the linear model for central VFs, and for test points with lower initial sensitivities.

목차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재현,문상우,김충락,이지웅. (2022).녹내장성 시야결손의 점별 모델링. 대한안과학회지, 63 (11), 918-927

MLA

김재현,문상우,김충락,이지웅. "녹내장성 시야결손의 점별 모델링." 대한안과학회지, 63.11(2022): 918-9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