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ASEAN 자유무역협정(FTA)의 수출촉진 효과 분석
이용수 115
- 영문명
- Does Korea-ASEAN Free Trade Agreement (FTA) Really Promote Korea’s Exports?
- 발행기관
- 한국무역연구원
- 저자명
- 원용걸(Yong-Kul Won)
- 간행물 정보
- 『무역연구』제18권 제5호, 175~19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 This paper empirically examines whether the Korea-ASEAN FTA really promotes Korea’s exports, thereby drawing som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Korea’s FTA policy.
Design/Methodology/Approach - We first calculate the export-promotion effects of the Korea-ASEAN FTA as well as other Korea’s FTAs using a difference-in-difference (DID) method, and then conduct both static and dynamic panel regression analyses based on the augmented gravity model, using Korea’s FTAs and relevant data over the period from 1999 to 2018.
Findings - First, DID results reveal that the Korea-ASEAN FTA has increased its exports by 9.1%, which is much larger than the FTAs with China (-7.2%), India (-9.1%), and the EU (1.2%), but lower than the FTAs with the USA (10.4%) and EFTA (26.2%). Second, however, neither static nor dynamic panel data regression results support the export-promotion effects of the Korea-ASEAN FTA, regardless of estimation methods and export categories. Finally, ASEAN membership itself play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ole in promoting Korea's exports to members, which implies that Korea would export more to the ASEAN members than its normal level stipulated by a gravity equation even without the FTA.
Research Implications - Unlike what is commonly believed, Korea’s FTA with ASEAN as well as its other FTAs were not likely to increase its exports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way. It is particularly true for its FTAs with developing countries. Thus, the Korean government needs to keep improving the content of existing FTAs with developing countries to enhance the market access of Korean products.
목차
Ⅰ. 서론
Ⅱ. 한국의 對ASEAN 수출·입 및 직접투자 추이
Ⅲ. 실증분석 모형 및 자료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Limitations of CISG and Product Liability Act on Buyer’s Notification Obligation
- Understanding Brand-Related Content Consumption: The Role of Source of Content, Persuasive Knowledge, and Product Type
- 중국의 국경 간 전자상거래 현황과 남북한 전자상거래 협력방안에 관한 연구
- Fuzzy-AHP와 Fuzzy-TOPSIS를 이용한 항만배후단지 경쟁력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 재고최소화와 기업성과 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분석
- The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ormal Economy and FDI Inflows in CIS Countries
- 단절없는 전자무역과 블록체인
- 친환경 전기추진 어선의 경제적 타당성 분석에 관한 연구
- 물류 안전분위기의 결정요인과 물류 안전행동의 관계
- 아시아 외환시장의 수익률 전이효과에 관한 실증연구
- 한-ASEAN 자유무역협정(FTA)의 수출촉진 효과 분석
- 선박의 운영형태가 해운기업의 현금흐름 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 What Factors Influence the Churn Intention in the Context of Online Learning Platform
- The Relationship between FDI and Exports: Based on the Activities of Foreign Affiliates
- 조직 구성원의 공정성 지각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심리적 주인의식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 호텔의 조직문화가 셀프리더십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제3국통화표시 수출입가격 결정과 환율의 영향
- 관광전공 대학생들의 마인드셋과 그릿, 진로적응성의 구조적 관계
- 럭셔리브랜드개성이 브랜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對EU 해외직접투자(FDI)의 한국 무역에 대한 효과
- A Comparative Study on the Measurement of Gender Pay Gap Analysis: Oaxaca-Blinder vs Pay Ratio Method
- Study on the Impact of Fresh Food E-Commerce Logistics Service Quality on Customer Satisfaction, Customer Trust, and Repurchase Intention
- WTO 체제하에서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의 도입 가능성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무역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무역학분야 NEW
- 무역연구 제21권 제1호 목차
- Impact of Power Attributes on Supply Chain Sustainability
- The Impact of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on Out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Evidence from Chinese firm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