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딥러닝을 이용한 벼 도복 면적 추정

이용수 11

영문명
Estimation of the Lodging Area in Rice Using Deep Learning
발행기관
한국작물학회
저자명
반호영(Ho-Young Ban) 백재경(Jae-Kyeong Baek) 상완규(Wan-Gyu Sang) 김준환(Jun-Hwan Kim) 서명철(Myung-Chul Seo)
간행물 정보
『한국작물학회지』제66권 제2호, 105~111쪽, 전체 7쪽
주제분류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0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해마다, 강한 바람을 동반한 태풍 및 집중호우로 인해 벼도복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삭이 여무는 등숙기에 도복으로 인한 수발아와 관련된 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다. 따라서, 신속한 피해 대응을 위해 신속한 벼 도복 피해 면적 산정은필수적이다. 벼 도복과 관련된 이미지들은 도복이 발생된김제, 부안, 군산일대에서 드론을 이용하여 수집하였고, 수집한 이미지들을 128 × 128 픽셀로 분할하였다. 벼 도복을예측하기 위해 이미지 기반 딥 러닝 모델인 CNN을 이용하였다. 분할한 이미지들은 도복 이미지(lodging)와 정상 이미지(non-lodging) 2가지로 라벨로 분류하였고, 자료들은학습을 위한 training-set과 검증을 위한 vali-se을 8:2의 비율로 구분하였다. CNN의 층을 간단하게 구성하여, 3개의optimizer (Adam, Rmsprop, and SGD)로 모델을 학습하였다. 벼 도복 면적 평가는 training-set과 vali-set에 포함되지않은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이미지들을 methshape 프로그램으로 전체 농지로 결합하여 총 3개의 농지를 평가하였다. 도복 면적 추정은 필지 전체의 이미지를 모델의 학습 입력크기(128 × 128)로 분할하여 학습된 CNN 모델로 각각 예측한 후, 전체 분할 이미지 개수 대비 도복 이미지 개수의비율을 전체 농지의 면적에 곱하여 산정하였다. training-set 과 vali-set에 대한 학습 결과, 3개의 optimizer 모두 학습이진행됨에 따라 정확도가 높아졌으며, 0.919 이상의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평가를 위한 3개의 농지에 대한 결과는 모든 optimizer에서 높은 정확도를 보였으며, Adam이 가장높은 정확도를 보였다(RMSE: 52.80 ㎡ , NRMSE: 2.73%). 따라서 딥 러닝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벼 도복 면적을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영문 초록

Rice lodging is an annual occurrence caused by typhoons accompanied by strong winds and strong rainfall, resulting in damage relating to pre-harvest sprouting during the ripening period. Thus, rapid estimations of the area of lodged rice are necessary to enable timely responses to damage. To this end, we obtained images related to rice lodging using a drone in Gimje, Buan, and Gunsan, which were converted to 128 × 128 pixels images.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model, a deep learning model based on these images, was used to predict rice lodging, which was classified into two types (lodging and non-lodging), and the images were divided in a 8:2 ratio into a training set and a validation set. The CNN model was layered and trained using three optimizers (Adam, Rmsprop, and SGD). The area of rice lodging was evaluated for the three fields using the obtained data, with the exception of the training set and validation set. The images were combined to give composites images of the entire fields using Metashape, and these images were divided into 128 × 128 pixels. Lodging in the divided images was predicted using the trained CNN model, and the extent of lodging wa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ratio of the total number of field images by the number of lodging images by the area of the entire field. The results for the training and validation sets showed that accuracy increased with a progression in learning and eventually reached a level greater than 0.919. The results obtained for each of the three fields showed high accuracy with respect to all optimizers, among which, Adam showed the highest accuracy (normalized root mean square error: 2.73%).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is anticipated that the area of lodged rice can be rapidly predicted using deep learning.

목차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 요
사 사
인용문헌(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반호영(Ho-Young Ban),백재경(Jae-Kyeong Baek),상완규(Wan-Gyu Sang),김준환(Jun-Hwan Kim),서명철(Myung-Chul Seo). (2021).딥러닝을 이용한 벼 도복 면적 추정. 한국작물학회지, 66 (2), 105-111

MLA

반호영(Ho-Young Ban),백재경(Jae-Kyeong Baek),상완규(Wan-Gyu Sang),김준환(Jun-Hwan Kim),서명철(Myung-Chul Seo). "딥러닝을 이용한 벼 도복 면적 추정." 한국작물학회지, 66.2(2021): 105-11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