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함안지역 지하수의 비소(As) 함량과 미생물 군집 특성과의 연관성 검토

이용수 85

영문명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s Related to Arsenic Concentrations in Groundwater Occurring in Haman Area, South Korea
발행기관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저자명
김동훈(Dong-Hun Kim) 문상호(Sang-Ho Moon) 고경석(Kyung-Seok Ko) 김성현(Sunghyun Kim)
간행물 정보
『자원환경지질』53권 6호, 655~666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지질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함안지역 고농도 비소 오염 지하수의 미생물 군집 특성 분석을 통해 지하수 내 비소 산출 특성을 평가하고자 수행되었다. 함안지역 지하수는 0~757.2 µg/L 농도 범위의 비소로 오염되어 있으며, 이는 국내에서 보고된 가장 높은 자연기원 지하수 비소 오염 농도를 나타낸다. 전체 200개 시료 중 29개(14.5%)에서 먹는물 수질 기준인 10 µg/L이상의 비소 농도가 관측되었으며, 암반 지하수 관정(80~100 m 심도)에서는 50 µg/L 이상인 시료가 8개(4%)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함안군 북측 지역에는 비소 함량이 100 µg/L 이상인 관정이 7개 존재하는 특징을 보였다. 고농도 비소 오염지역 지하수의 미생물 군집 분석 결과, 8개 시료에서 서로 상이한 군집 특성을 보였으며 Proteobacteria가 평균 61.5%로 가장 우점하였다. 속(genus) 수준에서는 혐기성 균인 Gallionella속과 Methermicoccus 속, 호기성 비소 환원균인 Acinetobacter속이 각각 12.8%, 7.3%, 7.8%의 높은 비율로 존재하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연구 지역의 지화학적 특성과 지하수 내 미생물의 생지화학적 기작의 복합적 반응에 의해 고농도 비소 오염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구축된 지화학적 특성과 미생물 군집에 대한 정보는 지하수 내 고농도 비소의 생성 기원과 이들의 제어 기술 개발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valuated the characteristics of arsenic production in groundwater through microbial community analysis of groundwater contaminated with high arsenic in Haman area. Groundwater in Haman area is contaminated with arsenic in the range of 0-757.2 µg/L, which represents the highest arsenic contamination concentration reported in Korea as natural groundwater pollution source. Of the total 200 samples, 29 samples (14.5%) showed higher arsenic concentration than that of 10 µg/L, which is the standard for drinking water quality, and 8 samples (4%) found in wells with 80-100 m depth were above 50 µg/L. In addition, seven wells with arsenic concentration more than 100 µg/L located in the northern part of Haman. As a result of microbial community analysis for high arseniccontaminated groundwater, the microbial community composition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each sample, and Proteobacteria was the most dominant phyla with an average of 61.5%. At the genus level, the Gallinonella genus was predominant with about 12.8% proportion, followed by the Acinetobacter and Methermicoccus genus with about 7.8 and 7.3%, respectively. It is expected that high arsenic groundwater in the study area was caused by a complex reaction of 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biogeochemical processe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constructed information on 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microbial communities through this study could be used to identify the origin of high arsenic groundwater and the development of its controlling technology

목차

1. 서 론
2. 연구 지역 및 연구 방법
3. 연구결과 및 토의
4. 결 론
사 사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동훈(Dong-Hun Kim),문상호(Sang-Ho Moon),고경석(Kyung-Seok Ko),김성현(Sunghyun Kim). (2020).함안지역 지하수의 비소(As) 함량과 미생물 군집 특성과의 연관성 검토. 자원환경지질, 53 (6), 655-666

MLA

김동훈(Dong-Hun Kim),문상호(Sang-Ho Moon),고경석(Kyung-Seok Ko),김성현(Sunghyun Kim). "함안지역 지하수의 비소(As) 함량과 미생물 군집 특성과의 연관성 검토." 자원환경지질, 53.6(2020): 655-6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