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남해 대륙붕 PZ-1 시추공 주변 현무암 대지 구조의 CO₂ 지중저장용량 평가

이용수 41

영문명
Assessment of CO₂ Geological Storage Capacity for Basalt Flow Structure around PZ-1 Exploration Well in the Southern Continental Shelf of Korea
발행기관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저자명
신승용(Seung Yong Shin) 강무희(Moohee Kang) 신영재(Young Jae Shinn) 정순홍(Snons Cheong)
간행물 정보
『자원환경지질』53권 1호, 33~43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지질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2.28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CO₂ 지중저장은 현재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CCS(Carbon Capture & Storage) 저장기술 중 가장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기술로 평가되고 있다. 지중저장 대상 염대수층은 일반적으로 CO₂가 초임계상태로 저장될 수 있는 지하 800 m이상의 심도에 위치하고, 그 상부에 지표로의 CO₂ 누출을 막는 광역적인 불투수성 덮개암층이 분포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남해 대륙붕 탄성파 및 시추공 자료를 해석하여 덮개암으로 활용할 수 있는 현무암층과, 하부 염대수층이 발달하고 있는 현무암 대지 구조를 CO₂ 지중저장 유망구조로 제시하였다. 연구지역 주입대상 염대수층의 지중저장용량을 평가하기 위해 총 공극률은 시추공 감마 및 음파검층 자료를 이용하여 산출하였으며, 염대수층 구간의 온도/압력 조건을 고려하여 CO₂ 밀도를 계산하였다. 정확한 주입대상 염대수층의 체적을 산정하기 위해 x, y, z 축 방향으로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3차원 지질 격자 모델을 구성하였고, 염대수층 3차원 공간의 물성 분포를 지구통계학적 기법으로 예측하는 물성 모델링을 수행하여 총 공극률 값을 지질 격자에 할당하였다. U.S. DOE 방법을 이용하여 남해 대륙붕 현무암 대지 구조의 CO₂ 지중저장용량 평가 결과 평균 약 8,417만 CO₂톤(최소 4,207만 ~ 최대 1억 4,379만 CO₂톤)이 주입대상 염대수층 구간에 저장 가능한 것으로 예측되었다.

영문 초록

CO₂ geological storage is currently considered as the most stable and effective technology for greenhouse gas reduction. The saline formations for CO₂ geological storage are generally located at a depth of more than 800 m where CO₂ can be stored in a supercritical state, and an extensive impermeable cap rock that prevents CO₂ leakage to the surface should be distributed above the saline formations. Trough analysis of seismic and well data, we identified the basalt flow structure for potential CO₂ storage where saline formation is overlain by basalt cap rock around PZ-1 exploration well in the Southern Continental Shelf of Korea. To evaluate CO₂ storage capacity of the saline formation, total porosity and CO₂ density are calculated based on well logging data of PZ-1 well. We constructed a 3D geological grid model with a certain size in the x, y and z axis directions for volume estimates of the saline formation, and performed a property modeling to assign total porosity to the geological grid. The estimated average CO₂ geological storage capacity evaluated by the U.S. DOE method for the saline formation covered by the basalt cap rock is 84.17 Mt of CO₂(ranges from 42.07 to 143.79 Mt of CO₂).

목차

1. 서 론
2. 연구지역 지질개관
3. 연구자료 및 방법
4. 자료 해석
5. 3차원 지질 모델링
6. CO₂ 지중저장용량 평가
7. 결 론
사 사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승용(Seung Yong Shin),강무희(Moohee Kang),신영재(Young Jae Shinn),정순홍(Snons Cheong). (2020).남해 대륙붕 PZ-1 시추공 주변 현무암 대지 구조의 CO₂ 지중저장용량 평가. 자원환경지질, 53 (1), 33-43

MLA

신승용(Seung Yong Shin),강무희(Moohee Kang),신영재(Young Jae Shinn),정순홍(Snons Cheong). "남해 대륙붕 PZ-1 시추공 주변 현무암 대지 구조의 CO₂ 지중저장용량 평가." 자원환경지질, 53.1(2020): 33-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