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옥천대 북서부 태백산지역 평창-정선일대 지질구조의 기하학적 형태 해석

이용수 59

영문명
Sturctural Geometry of the Pyeongchang-Jeongseon Area of the Northwestern Taebaeksan Zone, Okcheon Belt
발행기관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저자명
장이랑(Yirang Jang) 정희준(Hee Jun Cheong)
간행물 정보
『자원환경지질』52권 6호, 541~554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지질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옥천대 태백산지역은 한반도의 지각 진화 과정 동안 중첩된 다변형 조산운동의 증거를 보존하고 있는 주요 습곡-단층대 가운데 하나로, 북서부의 평창-정선지역을 중심으로 서쪽의 주천지역 및 남쪽의 영월지역이 각각 단층 경계로 구분되며, 층서 및 지질구조에 있어서 차이를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북서부 태백산지역에 분포하는 고생대 지층들의 이러한 지역적 차이와 지구조 운동과의 연관성을 이해하기 위해 구조기하학적 형태 해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기 발간된 평창지역 지질도들에서 지질연대가 상이하게 제안된 시대미상 퇴적암체에 대한 연대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해당 암체가 후기 고생대 평안누층군에 대비되는 지층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대 결과와 야외조사를 통해 획득한 구조요소 자료를 종합하여 북서부 태백산지역에 보존되어 있는 지질구조들의 기하학적 형태를 해석하였다. 이 지역의 가장 주된 지질구조는 북동-남서 방향의 힌지를 가지는 광역 규모의 정선대향사로, 지동리배사, 남병산향사 및 임하리배사 등과 같은 이차습곡구조들을 수반한다. 하반구 투영 및 하향 투영 단면 해석 결과, 정선대향사는 힌지가 남부에서는 남쪽으로, 북부에서는 북쪽으로 완만하게 침강하는 향사형 극융 형태의 이중 침강 구조를 가진다. 그러므로 지질도 상에서 연구지역 남부와 북부의 지질구조의 특성이 상이하게 나타나 복잡하게 보이는 것은 침강하는 힌지로 인해 지질도 상에 노출되는 이차습곡들의 구조적 높이가 달랐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평창지역과 정선지역 고생대 지층의 분포를 규제하는 지질구조가 광역 규모의 정선대향사이고, 동익부인 정선지역에서만 보고된 행매층 및 회동리층이 서익부인 평창지역에서도 확인됨을 고려할 때, 향후 평창지역의 행매층 및 회동리층에 대한 상세연구를 통해 습곡 등과 같은 구조 운동에 의한 이들의 대칭 반복 가능성에 대해 추가 연구가 이루어지길 제언한다.

영문 초록

The Taebaeksan Zone of the Okcheon Belt is a prominent fold-thrust belt, preserving evidence for overlapped polyphase and diachronous orogenic events during crustal evolu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 Pyeongchang-Jeongseon area of the northwestern Taebaeksan Zone is fault-bounded on the western Jucheon and southern Yeongwol areas, showing lateral variations in stratigraphy and structural geometries. For better understanding these 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northwestern Taebaeksan Zone, we have studied the structural geometry of the Pyeongchang-Jeongseon area. For this, we have firstly carried out the SHRIMP U-Pb age analysis of the age-unknown sedimentary rock to clarify stratigraphy for structural interpretation. The results show the late Carboniferous to middle Permian dates, indicating that it is correlated to the Upper Paleozoic Pyeongan Supergroup. In addition to this, we interpreted the geometric relationships between structural elements from the detailed field investigation of the study area. The major structure of the northwestern Taebaeksan Zone is the regional-scale Jeongseon Great syncline, having NE-trending hinge with second-order folds such as the Jidongri and Imhari anticlines and the Nambyeongsan syncline. Based on the stereographic and down-plunge projections of the structureal elements, the structural geometry of the Jeongseon Great syncline can be interpreted as a synformal culmination, plunging slightly to the south at its southern area, and north at the northern area. The different map patterns of the northern and southern parts of the study area should be resulted in different erosion levels caused by the plunging hinges. Considering the Jeongseon Great syncline is the major structure that constrains the distribution of the Paleozoic strata of the Pyeongchang and Jeongseon areas, the symmetric repetition of the lower Paleozoic Joseon Supergroup in both limbs should be re-examined by structural mapping of the Hangmae and Hoedongri formations in the Pyeongchang and Jeongseon areas.

목차

1. 서 론
2. 지질개요
3. 평창군 대화면 대화리 일대 시대미상 퇴적 암체의 지질연대
4. 지질구조
5. 토 의
사 사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이랑(Yirang Jang),정희준(Hee Jun Cheong). (2019).옥천대 북서부 태백산지역 평창-정선일대 지질구조의 기하학적 형태 해석. 자원환경지질, 52 (6), 541-554

MLA

장이랑(Yirang Jang),정희준(Hee Jun Cheong). "옥천대 북서부 태백산지역 평창-정선일대 지질구조의 기하학적 형태 해석." 자원환경지질, 52.6(2019): 541-5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