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과 독일의 학교 민주시민교육 비교 연구

이용수 895

영문명
A comparative study on the democratic civic education of schools in South Korea and Germany - focused on curriculum of society and political education
발행기관
한독교육학회
저자명
김상무(Kim, Sang Mu)
간행물 정보
『교육의 이론과 실천』제26권 제1호, 1~2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4.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의 사회과와 독일의 정치교육의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양국의 학교 민주시민교육을 비교하고, 한국 학교 민주시민교육의 이론적 체계화를 위해 제언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현장교사들이 지적하고 있는 문제점들을 중심으로, 민주시민교육의 개념과 목표, 필요성, 육성하고자 하는 역량, 내용의 구성 체계, 성격을 비교한다. 분석대상은 한국의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2018년 교육부 민주시민교육 활성화를 위한 종합계획, 독일의 2016년 바덴-뷔르템베르크(Baden-Württemebrg)주 사회과 교육과정, 2018년 KMK(주문교장관회의)의 정치교육에 관한 지침이다. 연구 결과, 양국의 민주시민교육은 민주시민 자질을 갖춘 민주시민 양성을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공통적이었지만 차이점도 적지 않았다. 독일이 한국보다는 목표와 필요성에 있어서 명료했다. 민주시민교육이 육성하고자 하는 역량에 있어서도 사회와 관련하여 구체적이었고, 분명한 내용선정의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한국은 사회교과를 중심으로 범교과주제학습으로 민주시민교육을 제시하고 있는데 비해, 독일은 민주주의를 학교의 일상생활을 관통하는 삶의 양식으로서, 그리고 모든 교과의 수업원리로 관철하고 있다. 한국 학교 민주시민교육의 체계화를 위해 민주시민교육의 모든 학교생활과 수업원칙으로의 기능, 민주시민교육 관련 교과에서 학습목표와 내용선정의 연계 강화, 민주시민이 갖춰야 할 역량의 구체적 진술, 민주주의적 가치지향성 명료화, 삶, 사회, 그리고 지배형태의 세 가지 수준의 민주주의 관점에서의 내용 선정과 구조화, 참여와 정의 지향적인 시민교육의 변화를 제언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compares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South Korea and Germany through curriculum comparison and makes suggestions for theoretical systmatization. Focused on the problems criticized by school teachers, it analyzes concepts and goals, necessities, competences to develop, system of contents structure, and character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e objects of analysis are society curriculum in 2015 and master plan for vitalization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of ministry of education in South Korea. In Germany, political education curriculum of Baden- Württemberg in 2016 and guidelines for political education of KMK(Conference of education ministers) are analyzed. As a result, there are not only common features but also differences i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both countries. As for goals and necessities, Germany is more clear. And Germany presents more concrete competences to develop and lucid categories for contents selection. In Korea,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s dealt with thematic learning crossed subjects, wheras it is dealt with as a principle of school life and every classroom teaching in Germany. For theoretical systematization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is paper makes suggestions as follows: functioning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s the principle of every classroom teaching and school life, strenthening of linkage between learning goals and contents i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related subjects, concrete descriptions of competences to develop for democratic citizens in the future, clarification of democratic value orientation, contents selection and structuraliz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democracy as the principle of life, society and governance system, change into the participation and justice-oriented citizenship education.

목차

Ⅰ. 머리말
Ⅱ. 한국의 민주시민교육
Ⅲ. 독일의 정치교육
Ⅳ. 한국과 독일의 민주시민교육 비교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상무(Kim, Sang Mu). (2021).한국과 독일의 학교 민주시민교육 비교 연구. 교육의 이론과 실천, 26 (1), 1-23

MLA

김상무(Kim, Sang Mu). "한국과 독일의 학교 민주시민교육 비교 연구." 교육의 이론과 실천, 26.1(2021): 1-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