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태안해안국립공원 백사수도 주변 퇴적물 분포와 변동 특성

이용수 15

영문명
Distribution and Behavior of Sediment in Baeksasudo of Taeanhaean National Park
발행기관
국립공원연구원
저자명
이병관(Byoung-Kwan Lee) 오선관(Sun-Kwan Oh) 김진석(Jin-Seok Kim) 장성건(Seong-Geon Jang) 김병국(Byeong-Kuk Kim) 정주영(Ju-Young Jeong)
간행물 정보
『국립공원연구지』제6권 제2호, 82~90쪽, 전체 9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생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태안해안국립공원과 천수만을 연결하는 백사수도 인근 주변해역에서 퇴적물의 분포와 변동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유속관측과 계절별 부유물질농도와 표층퇴적물을 분석하였다. 태안해안국립공원과 연결되는 백사수도의 유속은 낙조우세의 조석비대칭으로 보였다. 백사수도의 동쪽으로 향하는 창조류는 저층을 통한 흐름이 우세하고, 태안해안으로 향하는 낙조류에는 표층을 통한 흐름이 우세하였다. 층별음향도플러유속계(ADCP)의 음향강도(Echo Intensity)와 부유물질농도를 측정하여 백사수도로 유출 또는 유입되는 부유퇴적물의 상대적인 함량을 비교한 결과, 유출시 표층보다 중층, 저층으로 갈수록 농도가 높고 유입시 저층이나 중층보다 표층에서 더 높은 농도가 관측되었다. 표층퇴적물의 퇴적환경은 백사수도 동쪽해역(천수만 북부)에서 서쪽해역(태안해안)으로 갈수록 자갈함유니질사(gravelly Muddy Sand), 희미한 자갈함유니질사((g) Muddy Sand), 자갈함유모래(gravelly Sand), 모래(Sand), 희미한 자갈함유모래((g)sand), 니질사 함유자갈(Muddy sandy gravel), 니질사(Muddy sand)로 대부분 모래가 우세한 퇴적상으로 변화되었다. 이는 유속이 강해지면서 저층퇴적물의 재부유작용에 의해서 침식된 퇴적물 이동이 증가된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o study distribution and behavior of sediment in the Baeksasudo between Taeanhaean National Park and Cheonsu Bay was measured at tidal current variation using ADCP during four tidal cycle of October 2014. Tide current of the inlet in the Baeksasudo between Taeanhaean and Cheonsu Bay dominated ebb tidal asymmetry. The current speed at the inlet of Baeksasudo (St. C2) was observed to be higher throughout bottom layer during flood tide and throughout near-surface layer during the ebb tide. Compared to echo intensity of ADCP during ebb and flood tide, relative echo intensity of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 was on the near-bottom measured higher than surface layer at St. C2. As a result, the suspended sediment of surface layer was lower concentration at the toward Cheonsu Bay, especially through the mid and near bottom layer were higher concentration at the outward nearshore Taeanhaean. The sediment at inlets of Baeksasudo seems to be consistent with a trend of sand sediment texture, which showed sediment environment from relatively coarse of outer-bay to inter-bay, gravelly Muddy Sand, slightly gravelly Muddy Sand, gravelly Sand, Sand, slightly gravelly sand, Muddy sandy gravel, Muddy sand.

목차

서론
연구지역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사사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병관(Byoung-Kwan Lee),오선관(Sun-Kwan Oh),김진석(Jin-Seok Kim),장성건(Seong-Geon Jang),김병국(Byeong-Kuk Kim),정주영(Ju-Young Jeong). (2015).태안해안국립공원 백사수도 주변 퇴적물 분포와 변동 특성. 국립공원연구지, 6 (2), 82-90

MLA

이병관(Byoung-Kwan Lee),오선관(Sun-Kwan Oh),김진석(Jin-Seok Kim),장성건(Seong-Geon Jang),김병국(Byeong-Kuk Kim),정주영(Ju-Young Jeong). "태안해안국립공원 백사수도 주변 퇴적물 분포와 변동 특성." 국립공원연구지, 6.2(2015): 82-9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