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높은 망막색소상피박리를 동반한 삼출성 황반변성에서 안내주사 후 망막색소상피파열의 예측인자

이용수 2

영문명
Predictors of Retinal Pigment Epithelial Tears in Exudative Macular Degeneration with High Pigment Epithelial Detachment
발행기관
대한안과학회
저자명
양희정(Hee Jung Yang) 김기석(Ki Seok Kim)
간행물 정보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61,number7, 755~764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의약학 > 기타의약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7.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망막색소상피박리의 높이가 400 μm 이상인 삼출성 노인황반변성 환자에서 유리체강내 항혈관내피성장인자 주입술 후 일어나는 망막색소상피파열에 관여하는 인자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3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삼출성 노인황반변성을 진단받고 첫 치료로 유리체강내 항혈관내피성장인자 3회 loading dose를 시행하고 1년 이상 경과 관찰이 가능했던 환자 중 망막색소상피박리의 최대 높이가 400 μm 이상인 55명 55안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총 55안 중 9안(16.4%)에서 망막색소상피파열이 발생하였다. 맥락막신생혈관의 넓이와 망막색소상피박리의 넓이는 모두 파열군이 파열이 일어나지 않은 군보다 크게 측정되었다(p=0.004, p=0.029). 초진시 망막내액이 관찰되는 빈도는 파열군이 89%, 파열이 일어나지 않은 군이 28%로 파열군이 높았으며(p=0.001), 중심와밑맥락막두께는 파열군에서 유의하게 얇게 측정되었다(p=0.003). 나이, 성별, 편위성, 기저 질환 여부, 초기시력, 진단, 망막색소상피박리의 종류, 망막하액의 빈도는 두 군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변수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망막내액의 유무가 망막색소상피파열과 연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odds ratio=20.3, p=0.007). 결론: 망막내액의 존재 유무가 삼출성 황반변성에서 안내주사 후 발생하는 망막색소상피파열과 연관성을 보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o evaluate the risk factors for retinal pigment epithelium (RPE) tear after intravitreal anti-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treatment in patients with exudative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ssociated with high pigment epithelial detachment (PED) (>400 μm). Methods: Fifty-five treatment-naive patients with high PED (>400 μm) and exudative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treated with an initial series of 3 monthly loading injections between January 2013 and December 2017, were retrospectively included. Results: The RPE tear rate was 16.4% (9/55). The areas affected by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and PED were significantly larger in the tear group compared with the no-tear group (p = 0.004, p = 0.029, respectively). The rate of intraretinal fluid (IRF) was 89% and 28% in the tear and no-tear groups, respectively (p = 0.001), and the subfoveal choroidal thickness was significantly thinner in the tear group (p = 0.00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respect to age, sex, laterality, underlying disease, baseline visual acuity, diagnosis, type of PED, or presence of subretinal fluid between the tear and no-tear groups. According to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indings, the presence of IRF is associated with a higher risk of RPE tear (odds ratio = 20.3, p = 0.007). Conclusions: The presence of IRF was associated with RPE tear development after intravitreal injection for exudative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희정(Hee Jung Yang),김기석(Ki Seok Kim). (2020).높은 망막색소상피박리를 동반한 삼출성 황반변성에서 안내주사 후 망막색소상피파열의 예측인자. 대한안과학회지, 61 (7), 755-764

MLA

양희정(Hee Jung Yang),김기석(Ki Seok Kim). "높은 망막색소상피박리를 동반한 삼출성 황반변성에서 안내주사 후 망막색소상피파열의 예측인자." 대한안과학회지, 61.7(2020): 755-7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