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핵심역량의 적용 실태 및 개선 방향 탐색

이용수 671

영문명
The Significance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Introduction of Core Competencies in 2015 Revised Curriculum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저자명
이승미(Seung-mi Lee)
간행물 정보
『교육문제연구』敎育問題硏究 第75輯, 1~31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5.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우리나라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국가 수준에 처음으로 핵심역량이 도입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핵심역량이 국가, 시ㆍ도 및 학교 수준에서 편성ㆍ운영되고 있는 실태를 분석하여 앞으로 우리나라 핵심역량이 어떻게 개선되어 나아가야 할 것인지 그 방향을 탐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첫째, 이론적 배경으로 외국 교육과정에서 나타난 핵심역량의 구현 유형을 분석하였고, 둘째, 우리나라의 국가 수준, 시ㆍ도 수준, 학교 수준 교육과정 문서에서 나타난 핵심역량 편성ㆍ운영의 실태를 분석하였으며, 셋째, 2015 개정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교사와 장학사의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자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핵심역량은 문서의 측면에서는 핵심역량의 선정 자체가 강조되고 있지만 실천의 측면에서는 교수ㆍ학습 및 평가의 변화를 위한 메타포로서의 역할에 치중되어 인식ㆍ활용되고 있다는 점을 밝혀내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핵심역량이 앞으로도 국가 수준 교육과정을 혁신하기 위한 도구로 실질적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하여 지향해야 할 핵심역량 기반 국가 교육과정 설계의 개선 단계를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In Korea, the core competency was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at the national level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being organized and operated at the level of national, metropolitan and provincial, and school, an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how to improve the core competencies of Korea in the future.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methods were used: First, the implementation types of core competencies in foreign curriculums were analyzed as theoretical backgrounds. Second, the actual condition of core competency, appeared in curriculum documents of Korea at the standard of organization and operation, city and province, and school, were analyzed. Third, a surve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teachers and supervisors regarding core competencies according to the introduct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s practiced in a complex type at the level of the state, city, province, and school.,Based on this, this study suggests the improvement of the national curriculum design based on core competencies that should be pursued in order to establish core competencies as a practical tool for innovation of national curriculum.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1) : 우리나라의 국가, 시ㆍ도, 학교 수준의 핵심역량 편성ㆍ운영 실태 분석
Ⅴ. 연구결과(2) : 핵심역량에 대한 교육현장의 인식 분석
Ⅵ.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승미(Seung-mi Lee). (2020).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핵심역량의 적용 실태 및 개선 방향 탐색. 교육문제연구, 75 , 1-31

MLA

이승미(Seung-mi Lee).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핵심역량의 적용 실태 및 개선 방향 탐색." 교육문제연구, 75.(2020): 1-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