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녹차로부터 β-Glucogallin, Coumaroyl Quinic Acid Derivative, 그리고 Flavonol Triglycoside의 분리·동정 및 항산화 활성

이용수 120

영문명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β-Glucogallin, Coumaroyl Quinic Acid Derivative, and Flavonol Triglycosides as Antioxidants from Green Tea
발행기관
한국차학회
저자명
반유진(Eu-Jin Ban) 김주형(Ju-Hyung Kim) 이소진(So-Jin Lee) 이동준(Dong-Jun Lee) 문제학(Jae-Hak Moon) 조정용(Jeong-Yong Cho)
간행물 정보
『한국차학회지』제26권 제2호, 57~65쪽, 전체 9쪽
주제분류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6.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Amberlite?? XAD-7 및 ODS open column chromatography을 이용하여 녹차에 함유된caffeine, 8종의 catechin류, 5종의 flavon-3-ol류 외 5종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5종의 화합물은 MS 및NMR 분석을 통해 1-galloyl-β-D-glucopyranose (1), 5-O-cis-p-coumaroyl quinic acid methyl ester (2), quercetin 3-O-[β-D-glucopyranosyl(1→3)-O-α-L-rhamnopyranosyl(1→6)-O-β-D-galactopyranoside] (3), quercetin 3-O-[β -D-glucopyranosyl(1→3)-O-α-L-rhamnopyranosyl(1→6)-O-β-D-glucopyranoside] (4) 그리고 kaempferol 3-O-[β -D-glucopyranosyl(1→3)-O-α-L-rhamnopyranosyl(1→6)-O-β-D-glucopyranoside] (5)로 동정되었다. 화합물 1, 3, 4, 및 5는 우롱차나 홍차 등의 차에서 그 존재가 확인되었으나, 화합물 2는 차나무로부터는 처음 동정되었다. 화합물 1, 3, 4, 및 5를 대상으로 항산화 활성을 평가한 결과, free radical-scavenging 활성 및 철 환원력은 화합물 1 > 화합물 3 > 화합물 4 > 화합물 5 순으로 높았다. 동정된 화합물들의 항산화 활성은 catechol 및 gallol 골격에서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Five antioxidative compounds were purified and isolated from green tea by Amberlite?? XAD-7 and ODS column chromatography. These compounds were identified as 1-galloyl-β-D-glucopyranose (1), 5-O-cis-p-coumaroyl quinic acid methyl ester (2), quercetin 3-O-[β-D-glucopyranosyl(1→3)-O-α-L-rhamnopyranosyl(1→6)-O-β-Dalactopyranoside] (3), quercetin 3-O-[β-D-glucopyranosyl(1→3)-O-α-L-rhamnopyranosyl(1→6)-O-β-D-glucopyranoside] (4), and kaempferol 3-O-[β-D-glucopyranosyl(1→3)-O-α-L-rhamnopyranosyl(1→6)-O-β-D-glucopyranoside] (5). These compounds were established by mass spectrometry and nuclear magnetic resonance analysis. Of them,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the four compounds (1, 3, 4, and 5) were evaluated using a 1,1-diphenyl-2-picrylhydrazyl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scavenging and ferric ion reducing power assays. Compound 1 showed higher antioxidant activities than the other compounds. Overall, these compounds may contribute to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tea leaf and its processed foods.

목차

서 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반유진(Eu-Jin Ban),김주형(Ju-Hyung Kim),이소진(So-Jin Lee),이동준(Dong-Jun Lee),문제학(Jae-Hak Moon),조정용(Jeong-Yong Cho). (2020).녹차로부터 β-Glucogallin, Coumaroyl Quinic Acid Derivative, 그리고 Flavonol Triglycoside의 분리·동정 및 항산화 활성. 한국차학회지, 26 (2), 57-65

MLA

반유진(Eu-Jin Ban),김주형(Ju-Hyung Kim),이소진(So-Jin Lee),이동준(Dong-Jun Lee),문제학(Jae-Hak Moon),조정용(Jeong-Yong Cho). "녹차로부터 β-Glucogallin, Coumaroyl Quinic Acid Derivative, 그리고 Flavonol Triglycoside의 분리·동정 및 항산화 활성." 한국차학회지, 26.2(2020): 57-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