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울산 지역 물 분쟁 해결을 위한 지하수저류지 설치에 따른 주변부 지하수위 변화 특성 분석 연구

이용수 61

영문명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Level Fluctuation Due to Groundwater Reservoir for Water Dispute Resolution in Ulsan, Korea
발행기관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저자명
오준오(Jun Oh Oh) 이종진(Jong Jin Lee) 전상미(Sang Mi Jun)
간행물 정보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16 No.5, 79~91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5.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과거 대규모 공업단지 조성과 소규모 댐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었던 울산지역은 사연댐 수몰지역에서 문화재적 가치가 큰 반구대 암각화가 발견되면서 문화재 보존문제와 수자원 확보 문제가 부딪혀 수십 년간 사회문제가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울산 태화강 중류에 지하수저류지를 설치하였을 경우 사연댐 수위저하로 발생하는 물 부족량 해결 가능여부와 이에 따른 주변부 지하수위 변화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태화강 하천유지유량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30,000㎥/day을 개발할 경우 365일 취수가 가능할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지하수저류지의 주변부 지하수위를 분석한 결과 지하수 저류지 상류부에서는 최대 0.5m 지하수위 상승이 하류부에서는 최대 4.0m의 지하수위 하강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지하수저류지에 취수시설을 적용하여 30,000㎥/day을 취수할 경우 취수시설 설치지점으로부터 약 650m 반경 내 지역에서 최소 0.3m 이상 지하수위 하강이 발생할 것으로 평가되었다. 향후 태화강 중류에 지하수저류지를 설치할 경우 반구대 암각화 보전을 위한 사연댐 수위저하로 발생하는 용수부족량 30,000㎥/day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In the Ulsan area, dam development was actively promoted for large-scale industrial and population growth, but the conflict between cultural property preservation and securing water supply security became a longstanding social issue since the discovery of the Bangudae petroglyphs in the Sayeon dam submerged area. This study aims to analyze groundwater level fluctuation in the surrounding area of the Ulsan Teahwa river to evaluate if the groundwater reservoir installed at the mid-stream of the river can resolve water shortage problem in the Ulsan Metropolitan city while preserving the Bangudae petroglyphs. The results show that a water intake facility with the capacity of 30,000㎥/day installed in groundwater reservoir is expected to ensure water intake all year long. It is also estimated that the groundwater level decreases by at least 0.3m in an area within a radius of about 650m from the facility. The groundwater reservoir installed at the mid-stream of the Teahwa river is expected to make up the shortage amount of water due to the reduction of water level for preserving the Bangudae petroglyphs, which could resolve the existing water disputes in Ulsan, Korea.

목차

Ⅰ. 서 론
Ⅱ. 모델링 영역
Ⅲ. 모델링 구성
Ⅳ. 지하수저류지 설치에 따른 지하수위 비교
Ⅴ.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준오(Jun Oh Oh),이종진(Jong Jin Lee),전상미(Sang Mi Jun). (2020).울산 지역 물 분쟁 해결을 위한 지하수저류지 설치에 따른 주변부 지하수위 변화 특성 분석 연구. 한국위기관리논집, 16 (5), 79-91

MLA

오준오(Jun Oh Oh),이종진(Jong Jin Lee),전상미(Sang Mi Jun). "울산 지역 물 분쟁 해결을 위한 지하수저류지 설치에 따른 주변부 지하수위 변화 특성 분석 연구." 한국위기관리논집, 16.5(2020): 79-9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