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자아방어기제와 전치적 강박소비행동에 관한 연구

이용수 532

영문명
Study on the Ego Defense Mechanism and the Displacive Compulsive Consumption Behavior
발행기관
한국소비문화학회
저자명
한성희(Han, sung hee)
간행물 정보
『소비문화연구』제23권 제2호, 1~29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6.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전치적 강박소비행동과 자아방어기제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전치적 강박소비행동은 전치에서 볼 수 있는 전이와 대리대상에 대한 애착이 지속적이고 강박적인 소비행태로 나타나는 것이다. 조사대상은 서울과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20-50대 소비자로, 최종 378명이 분석대상이 되었다. 연구방법은 기술통계, 요인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치적 강박소비행동은 요인분석(Varimax방식)을 통해 2개의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요인 1은 ‘분노전 이형 강박소비’, 요인 2는 ‘대리대상 애착형 강박소비’이다. ‘분노전이형’강박소비는 자신의 부정적인 감정을 강박적인 소비행동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대리대상애착형’강박소비는 원래의 대상으로 향하는 애정을 대리대상이나 사물에게 전이시키는 것이다. 둘째, 자아방어기제는 신경증, 자기애, 미성숙, 성숙의 방어기제로 4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신경증적 자아방어기제는 반동형성, 통제, 합리화, 해리, 자기애적 방어기제는 투사와 부정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미성숙한 방어기제는 수동공격, 신체화, 행동화, 퇴행, 회피, 동일시 요인, 성숙한 방어기제는 억제, 예견, 승화, 이타주의, 유머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전치적 강박소비행동에 미치는 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분노전이형과 대리대상애착형 강박소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차이가 있었다. ‘분노전이형’에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인 요인은 ‘퇴행’이었고, ‘대리대상 애착형’에는 ‘동일시’요인이 가장 큰 영향력을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로써, 전치적 강박소비행동을 적정화하기 위해서 자아기능에 주목하고 통찰할 수 있어야 할 필요성이 시사되었다. 본 연구는 강박소비행동을 비합리적인 소비행동으로 지적하는 관점에서 벗어나 새롭게 유형을 구분하고 자아방어기제의 영향력을 규명하여 소비행동모델을 정교화하여 해석의 패러다임을 전환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ego defense mechanism and the displacive compulsive consumption behavior. Displacement refers to the act of transferring and expressing the emotions felt toward a certain subject to a less important and less threatening alternative subject. On the other hand, displacive compulsive consumption behavior refers to the transfer seen in displacement and the attachment toward the substitute subject, which is continuously and repetitively emerging in the form of compulsive consumption. The activation of the ego function and its mechanism forms the intrinsic ego of an individual, and if change and enhancement on the intrinsic ego are necessary, greater attention should be placed on the mechanism of the ego function and habituated mechanism. Given this, the study attempts to identify the influence that the ego defense mechanism has on the displacive compulsive consumption behavior and seeks a desirable ego defense mechanism that improves the compulsive consumption behavior.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 a group of consumers in their 20s-50s residing in Seoul and other metropolitan areas, of which a total of 378 were chosen to undergo the analysis. For the method,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variance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analysis result and its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wo factors of the displacive compulsive consumption behavior were identified through the factor analysis (Varimax method). Factor 1 is “anger transfer type compulsive behavior,” which is expressing one’s negative emotions in the form of compulsive consumption behavior. On the other hand, Factor 2 is “substitute subject attachment type compulsive behavior,” which is transferring affection toward a certain subject to a substitute subject or object. Second, the ego defense mechanism consists of neurotic, narcissistic, immature, and mature defense mechanisms. Neurotic defense mechanism was classified into reaction-formation, controlling, rationalization, and dissociation factors; narcissistic defense mechanism was categorized into projection and denial factors; immature defense mechanism was classified into passiveaggression, somatization, acting out, regression, evasion, and identification factors; and mature defense mechanism was categorized into suppression, anticipation, sublimation, altruism, and humor factors. Each defense mechanism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y consumer groups in accordance with sociodemographic factors. Thir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factors that impact the displacive compulsive consumption behavior.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nger transfer type compulsive behavior and substitute subject attachment type compulsive behavior. The factor with the strongest influence on “anger transfer type” was “regression,” followed by “sublimation” and “reaction-formation,” which had a significant influence. As for the “substitute subject attachment type,” the “identification” factor had the biggest influence, followed by regression, evasion, reaction-formation, humor, and rationalization. Such study results suggest that focus should be placed on the ego function to further understand and manage the displacive compulsive consumption behavior. Therefore, the study proved to be helpful in analyzing the ego function influencing compulsive consumption behaviors by each ego defense mechanism and, in turn, supplied basic data necessary to ease compulsive consumption. Future studies could focus on the analysis of the process of controlling the ego defense mechanism to handle anger transfer type and substitute subject attachment type compulsive consump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성희(Han, sung hee). (2020).자아방어기제와 전치적 강박소비행동에 관한 연구. 소비문화연구, 23 (2), 1-29

MLA

한성희(Han, sung hee). "자아방어기제와 전치적 강박소비행동에 관한 연구." 소비문화연구, 23.2(2020): 1-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