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시대 古文書에 사용된 종이 분석

이용수 89

영문명
An Analysis of Papers used in Historical Manuscrips
발행기관
한국기록관리학회
저자명
손계영(Ke-Young Son)
간행물 정보
『한국기록관리학회지』제5권 제1호, 79~105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조선시대의 고문서에 사용된 종이를 분석하여 그 특징을 고찰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현존하는 종이실물의 분석을 통하여 조선시대 고문서에 사용된 종이의 상태와 변화를 실질적으로 관찰해 보고자 한다. 분석대상은 문중에 소장하고 있는 고문서 1,504건으로, 그 종류는 17종 23항이다. 분석방법으로는 종이의 발형태(발초·발끈의 형태), 밀도, 섬유종류를 분석하는 방법을 시도하였다. 우선 발의 형태는 발초수와 발끈폭으로 나누어 관찰하였는데, 3㎝내의 발초수는 크게 10개 내외의 경우와 17개 내외의 경우로 나누어진다. 17개 내외의 경우는 조선초기의 책지에서 보이는 발초수와 유사하나, 10개 내외의 경우는 그 사례가 드물다. 10개 내외의 발초수를 갖춘 것은 1933년 Dard Hunter의 조사에 보이는 억새발인 것으로 파악된다. 발초수를 시기적으로 살펴보면, 조선전기에 비해 중기부터 말기로 갈수록 발초가 더욱 촘촘해짐을 확인할 수 있다. 발끈폭은 상당히 불규칙적으로 나타나며, 이외에도 다양한 현상을 발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끈과 발끈 사이에 짧은 발끈이 있는 경우, 발끈이 이중으로 나타나는 경우, 발끈폭이 좁게 나타나는 경우 등이 그것이다. 발끈폭은 조선후기로 갈수록 좁아지는 현상을 보이는데, 특히 1800년대 이후에 확연히 좁아짐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밀도를 살펴보면, 문서종류마다 나타나는 평균밀도가 『度支準折』에 기록된 종이 종류와 무관하지 않다. 종이 종류의 항목이 같은 문서는 서로 유사한 평균밀도를 보이며 초주지, 상품도련지, 하품도련지, 저주지의 순으로 밀도가 점점 낮아진다. 이외에도 같은 종류 문서의 밀도를 분석해 보면 당시에 문서를 둘러싼 다양한 이해관계를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문서지에 사용된 식물섬유의 종류를 살펴보았다. 『탁지준절』에서 구분한 상품도련지, 하품도련지, 초주지, 저주지를 사용한 각 문서지의 섬유를 관찰한 결과, 모두 같은 형태의 닥섬유임을 알 수 있다. 이는 문서지 제조에 사용된 종이가 식물섬유의 차이에 의해서 구분되었던 것이 아니라, 제작·가공방법 등의 차이로 구분되었음을 알려주는 것이다. 문서의 작성목적에 따라 종이의 종류를 다르게 사용하고, 시기에 따라서도 종이의 특징이 다른 양상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를 통해서 冊紙와 文書紙의 비교를 할 수 있고, 중국의 고대 종이와 조선시대 종이의 비교도 가능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당시의 종이 종류와 문서종류별·시대별 변화과정을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되리라 믿는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hat the name from Tagjijunjeol is compared with the actual papers used in historical documents. I have selected the families having had influencing power in Gyungi-Do(京畿道), Gyungsang-Do(慶尙道), Jeonra-Do(全羅道), Chungcheung-Do(忠淸道), and analyzed 1504 articles of historical documents owned by those families. I checked up each papers used in historical documents in it s shape of screens, density, raw material. I cannot find the feature of it s region, but prominent feature according to the types and period of historical documents. At first, I have surveyed the impressions of screen marks in papers. The number of strips can be divided into two cases, around 10 and around 17. The case around 17 is similar to the number seen in the book paper of the early Joseon Dynasty, but the case around 10 is rare. Dard Hunter said in his book, published in 1933, that screens were made of Korean grass(Miscanthus sp.) at that time in Korea. I guess the impressions of screen marks of the case around 10 was made of Korean grass, Miscanthus sp.. The case around 10 and the case around 17 were not different in period, but the contemporary appearance. However, if we look into the change of strips number, we can learn that it becomes more dense as time goes by. The intervals of hair stitch, contrary to book paper, have appeared irregularly and a short hair stitch was frequently found between long hair stitches. This was the result of fastening extra stitch to increase the firmness of strips, as the part of screens which was frequently touched by hands would wear out easily. Then, have look into the density. Each kinds of historical documents had a wide range of density. But the average have had relationship with the kinds of paper written in Tagjijunjeol. The historical documents having the same item of paper have kept similar densities. From the density variation of Gosingyoji(告身敎旨), the letter of appointment the official rank over 5 by king, based on time periods, we can see a great disparity between before and after Imjin-waeran war. Before Imjin-waeran war paper s quality was high, right after Imjin-waeran war went abruptly down, and went gradually up just from 1650 s, but since 1700 s quality has not risen more, kept the value. On the contrary, the density of Gyocheop(敎牒), the letter of appointment the official rank under 5 by the Ministry of Personnel and the Ministry of Military, have not had a great disparity according to time periods, but had a lower density than Gosingyoji. Joseon Dynasty has strictly divided Gosingyoji appointing the official rank over 5 from Gyocheop appointing the official rank under 5, it seems to distinguish the appointment by king from the appointment by Ijo(吏曹), the Ministry of Personnel and Byeongjo(兵曹), the Ministry of Military.

목차

1. 서론
2. 발의 형태
3. 밀도
4. 섬유종류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손계영(Ke-Young Son). (2005).조선시대 古文書에 사용된 종이 분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5 (1), 79-105

MLA

손계영(Ke-Young Son). "조선시대 古文書에 사용된 종이 분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5.1(2005): 79-10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